난해 성경절

List
부록 및 참고 도서
성경절

;
문제

사도 시대를 통치한 로마의 왕제들

연대 황제명 성경 관련 사항
BC 27-AD 14 아우구스투스 (Augustus) 눅 2:1
AD 14-37 디베료 (Tiberius) 눅 3:1
AD 37-41 칼리굴라 (Caligula)
AD 41-54 글라우디오 (Claudius) 행 11:28; 18:2
AD 54-68 네로 (Nero) 행 25:10-12; 27:24; 딤후 4:16, 17
AD 68 갈바 (Galba)
AD 69 오토 (Otho)
AD 69 비텔리우스 (Vitellius)
AD 69-79 베스파시아누스 (Vespasian)
AD 79-81 티투스 (Titus)
AD 81-96 도미티아누스 (Domitian)
AD 96-98 네르바 (Nerva)
AD 98-117 트라야누스 (Trajan)

유대 지방을 다스린 로마의 총독들

연대 (AD) 총독명 성경 관련 사항
6-10 코포니우스 (Coponius)
10-13 암비비우스 (Ambibius)
13-15 루푸스 (Annius Rufus)
15-26 그라투스 (Valerius Gratus)
26-36 빌라도 (Pontius Pilate) 마 27:10-31
36-38 마르첼루스 (Marcellus)
38-41 마릴루스 (Maryllus)
44-46 파두스 (Cuspius Fadus)
46-48 알렉산더 (Tiberius Alexander)
48-52 카마누스 (Ventidius Camanus)
52-60 벨릭스 (Antonins Felix) 행 23; 24; 열심당(Zealots) 사건을 해결 못해, 네로(Nero)에게 해임당함
60-62 베스도 (Porcius Festus) 행 25; 26; 베스도는 부임 후 얼마 안되어 사망
62-64 알비누스 (Albinus)
64-66 플로루스 (Gessias Florus)

헤롯의 가계도

 


1-3 세기의 교부들

이름 연대 활동 장소 저서 중요 사건
클레멘트(로마) (Clement of Rome) AD 30-100 로마 글레멘트 1서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는 제4대 교황으로 여기며 도미티아누스 황제에 의하여 순교당하였다.
이그나티우스 (Ignatius) d. 117 안디옥 (수리아) 일곱개의 서신 영지주의 (Gnostic) 이단설을 반대하였다. 트라야누스 황제에 의하여 순교당하였다.
헤르마스 (Hermas) 1세기 말-2세기 초 로마 The Shepherd 클레멘트와 동시대의 인물로 노예 출신의 유대인으로 알려져 있다.
바나바(알렉산드리아) (Barnabas of Alexandria) 1세기 말-2세기 초 알렉산드리아 Epistle of Barnabas 알렉산드리아의 유대인 지성인이며 필론의 알레고리 해석방법 (alegorical method)에 익숙했다.
파피아스 (Papias) AD 60-130 히에라볼리 Exposition of Oracles of our Lord 사도 요한을 알았을 것. 마가복음이 베드로의 말에 근거했으며 마태복음은 원래 아람어로 기록되었다고 언급.
폴뤼카르푸스 (Polycarp) AD 69-160 서머나 Epistle to Philippians 요한을 알았을 것. 안토니오 피우스에게 순교 당함.
콰드라투스 (Quadratus) 2세기 초 아덴 Apology 아테네의 감독
아리스티데스 (Aristides) 2세기 초 아덴 Apology 그의 저서 변증(Apology)은 하드리아누스 황제에게 바쳐졌으며, 바울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유스티노스 마르튀로스 (Justin Martyr) AD 100-165 팔레스타인 에베소 로마 1 & 2 Apology Against Heresis 철학적 교훈을 받고 평신도 교사로 활동, 로마에서 참수형으로 순교를 당함.
타티아누스 (Tatian) AD 110-172 앗수르 수리아 로마 Diatessaron 유스티노스의 제자이며 처음으로 복음서의 조화를 시도. 후에 영지주의에 빠짐.
이레내우스 (Irenaeus) 2세기 말 서머나 Against Heresis 폴 뤼카르푸스의 제자로 영지주의를 강하게 반대했으며 리용(Lyons)의 감독이고 리용에서 순교.
클레멘트 (Clement) AD 150-215 알렉산드리아 The Pedagogue 철학적 훈련을 받았고 로고스 연구로 유명.
테르툴리아누스 (Tertullian) AD 160-220 카르타고 Against Marcion 로마 장교의 아들로 태어나 법을 공부했으며 삼위일체 교리의 기초를 놓음.
오리게네스 (Origen) AD 185-254 알렉산드리아 가이사랴 Hexapla 성경의 알레고리 해석 (allegorical interpretation)으로 유명함.

기독교를 박해한 로마 황제들

연대 (AD) 이름 박해의 내용과 정도 순교자
64 네로 (Nero) 로마 시내에 불을 지르고 그 책임을 기독교인들에게 돌린 변태적 폭군. 바울 (Paul), 베드로 (Peter)
90-96 도미티아누스 (Domitian) 황제 숭배를 거절하는 그리스도인들을 핍박함. 사도 요한을 기름가마에 넣어 죽이려 했다. 클레멘트 (로마) (Clement of Rome) 요한을 밧모섬에 유배
98-117 트라야누스 (Trqjan) 산발적으로 핍박. 발견되는 그리스도인만 핍박함. 이그나티우스 (Ignatius), 시므온 (Symeon)
117-138 하드리아누스 (Hadrian) 트라야누스 황제의 정책을 따름. 텔레스포루스 (Telesphorus)
161-180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Marcus Aurelius) 스토아 철학자로 유명하며 철학적인 근거 위에서 그리스도인들을 핍박. 유스티노스 마르튀로스 (Justin Martyr), 포티누스 (Pothinus), 블란디나 (Blamdina)
202-211 셉티무스 세베루스 (Septimus Severus) 그리스도인이 되는 것을 금지. 레오니다스 (Leonidas), 이레내우스 (Irenaeus), 페르페투아 (Perpetua)
235-236 막시미누스 (Maximinus the Thracian) 그리스도교 성직자들을 핍박했으며 그리스도인들이 황제가 살해한 그의 후계자를 지지했다는 이유로 핍박함. 우르술라 (Ursula), 힙폴리 투스 (Hippolytus)
249-251 데치우스 (Decius) 그리스도인들에게 전국적 규모의 박해를 가함. 파비아누스 (Fabianus), 알렉산더 (Alexander of Jerusalem)
257-260 발레리아누스 (Valerian) 그리스도인들이 모여 집회하는 것을 금지. 오리게네스 (Origen), 키프리아누스 (Cyprian), 식스투스 II세 (Sixtus II)
303-311 디오클레티아누스 (Diocletian Galerius) 지금까지의 핍박 중 최대의 박해를 저지름. 교회를 파괴하고 성경을 불태웠다. 그리스도인들의 시민권을 박탈하고 이교 신들에게 경배할 것을 강요함. 마우리티우스 (Mauritius), 알바누스 (Alban)

신약 각책의 개론

책명 이름 기록연대 기록장소 수신자 핵심기별
마태복음 마태 50년대 중 예루살렘 유대인들 왕이신 그리스도
마가복음 마가 50년대 초 로마 로마인들 하나님의 종이신 그리스도
누가복음 누가 58-60 가이사랴 데오빌로 인자이신 그리스도
요한복음 요한 90-100 에베소 에베소지역 하나님이신 그리스도
사도행전 누가 61-63 로마 데오빌로 복음전파의 역사
로마서 바울 57, 58 고린도 로마지역 사람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
고린도전서 바울 55-57 에베소 고린도 교회 교회의 문제들과 해결책
고린도후서 바울 55-57 마게도냐 고린도 교회 바울의 사도직에 대한 방어와 공격
갈라디아서 바울 57, 58 고린도 갈라디아 교회들 믿음으로 얻는 구원
에베소서 바울 61-63 로마 에베소 교인들 교회의 유래와 사명
빌립보서 바울 61-63 로마 빌립보 교회 기쁨과 감사
골로새서 바울 61-63 로마 골로새 교회 그리스도론
데살로니가전서 바울 49-52 고린도 데살로니가 교회 참된 재림의 준비
테살로니가후서 바울 49-52 고린도 데살로니가 교회 참된 재림의 준비
디모데전서 바울 63-67 소아시아 디모데 목회자에게 주는 권면
티모데후서 바울 66년 가을? 로마 디모데 목회자에게 주는 권면
디도서 바울 63-67 소아시아 디도 디모데전서 요약
빌레몬서 바울 61-63 로마 빌레몬 노예의 용서를 위한 탄원
히브리서 바울 63-67 소아시아 박해받는 유대인들 성소론. 대제사장이신 그리스도
야고보서 야고보 (예수의 형제) 49년 이전 예루살렘 홑어진 유대인들 시험을 이기는 믿음 행함으로 온전케 되는 믿음
헤드로전서 베드로 66-67 로마 소아시아의 디아스포라 핍박으로부터의 승리
베드로후서 베드로 66, 67 로마 소아시아의 디아스포라 이단 문제 재림의 지연 문제
요한일서 요한 95-100 에베소 에베소지역의 그리스도인들 서로 사랑하라. 계명을 지키라. 적 그리스도의 정체
요한이서 요한 95-100 에베소 택하심을 입은 부녀 요한일서 요약
요한삼서 요한 95-100 에베소 가이오 전도자를 대접하라
유다서 유다 (예수의 형제) 67년 이후 예루살렘 그리스도인들 베드로후서 요약
요한계시록 요한 95-100 밧모섬 소아시아의 일곱 교회 대쟁투의 끝. 새 하늘과새 땅

 안식일에 관한 22가지 질문과 대답


 I. 안식일은 구약의 율법이며 그림자로서 신약 시대에는 폐했다는 주장에 대하여


 A. 신약 시대에 안식일이 과연 폐해졌는가? 안식일은 십계명 중의 넷째 계명이다. 안식일이 폐해졌다면 십계명 자체도 신약 시대에는 폐해졌으며 지킬 필요가 없어야 한다. 성경을 잘 모르는 사람들은 십자가 이후에는 십계명까지도 폐해졌다고 주장한다. 안식일에 대한 이유없는 반감 때문에 신성한 도덕법인 십계명까지도 폐기해버리는 무모한 짓을 자행하는 것이다. 십계명이 없다면 그리스도인들은 무슨 규범으로 살아가겠는가? 그들은 하나님의 은혜로 살아간다고 말할 것이다. 이것은 마치 부모의 명령과 소원을 모조리 폐기해버리고 무시하는 탕자가 “부모의 말씀을 따르는 사람은 어리석은 율법주의자들이며 나는 법같은 것은 필요 없고 오직 부모님의 은혜로 살아갈 뿐” 이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


 B. 율법 중에는 십자가로 폐지된 법이 분명히 있다. 제사 지내는 의문의 율법이라든지 절기에 관한 법들은 그리스도의 구속 사업을 나타내는 상징이요 그림자이기 때문에 원형인 그리스도가 오셔서 십자가에서 그 구속 사업을 완성하시자 분명히 폐지되었다(골 2:14). 그러나 도덕법인 십계명은 하나님의 말씀이 영원한 것처럼 폐지 될 수 없다. “천지가 없어지기 전에는 율법의 일점 일획이라도 반드시 없어지지 아니하고 다 이 루리라” (마 5:18)는 말씀이 바로 그것이다. 장로 교회의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도 십계명은 세상 끝 날까지 폐할 수 없음을 분명히 하고 있다.

 하나님은 그의 말씀으로 적극적이고 도덕적이고 영구적인 명령을 발하여, 모든 시대의 사람들에게, 특별히 이레 중 하루를 안식일로 택정하여 하나님께 거룩하게 지키게 하셨다.... 성경에는 이날이 주의 날로 불리고 있다. 이날은 세상 끝 날까지 기독교의 안식일로 지켜져야 한다(웨스트민스터 신앙 고백, 제21장 7항).


 C. 신약 시대에도 안식일이 폐하여지지 않았다는 유력한 성경적 증거는 십자가 이후에도 그리스도인들이 안식일을 계속 지켰다는 사실이다. 예수님이 돌아가신 엄청난 사건도 사람들이 “계명을 좇아 안식일에 쉬”는(눅 23:56) 것을 막지 못했다. 어떤 사람들은 신약에 안식일을 지키라는 직접적인 명령이 없다고 말하며 심지어는 예수님도 안식일을 지키지 않았다고 강변하지만, 예수께서 돌아가신 밤에 제자들이 지킨 그 안식일보다 더 강력한 증거가 있을까? 예수께서 안식일을 지키지 않았거나 폐하셨다는 조그마한 암시라도 주셨다면 예수님의 시신을 무덤에 두고 사람들이 안식일을 지킬 수가 있었을까 의문이다.(눅 23:56), 사도 바울은 예수께서 돌아가신지 20년 후에도 신실하게 규례대로 안식일을 지키고 있다. 유대인 남자 10명이 없어서 회당을 세우지 못하는 빌립보에서는 강가에까지 가서 안식일을 지키고 있다(행 16:13). 바울이 안식일에 유대인을 만나러 강가에 갔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빌립보에 왜 회당이 없는지 그 이유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이다. 바울이 강가에서 만난 루디아도 유대인이 아니다.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 (God fearer)라는 표현은 유대인에게는 쓰지 않는다. 주로 하나님을 섬기는 이방인들을 말할 때 쓰이는 말이다. 예수께서 안식일에 병자를 고치신다고 유대인들이 그를 죽이려 했는데 하물며 바울이 안식일을 무시하면 유대인들이 그를 그냥 두겠는가?


 D. 신약에서 안식일을 지키라는 말씀 중 가장 확실한 것은 예수께서 돌아가시기 직전에 하신 부탁의 말씀 가운데 안식일에 관한 것이다. 그는 “너희의 도망하는 일이 겨울에나 안식일에 되지 않도록 기도하라” (마 24:20)고 말씀하셨다. 유언처럼 하신 말씀 중에 안식일을 철저히 지키지 못하게 될까봐 걱정하신 것이다. 만일 안식일이 자신의 죽음 후에 폐지되는 것이었다면 왜 이런 부탁의 말씀을 하셨을까? 어떤 사람들은 예수께서 안식일을 폐하시기는 했지만 제자들이 마지막 환난날까지도 안식일을 철저히 지킬 것을 미리 아시고 이 말씀을 하신 것이라고 설명하는데, 예수님의 말씀을 거역하고 안식일을 철저히 지키는 미련한 제자들을 위하여 기도하라고까지 하셨다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 이 말씀은 분명히 세상 끝날까지 안식일을 철저히 지키라는 말씀이다.



 II. 안식일을 주신 목적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하여


 A. 하나님께서 창조 주일에 안식일을 우리에게 주신 이유는 창세기 2:1-3에 잘 나타나 있다. “하나님의 지으시던 일이 일곱째 날이 이를 때에 마치니 그 지으시던 일이 다하므로 일곱째 날에 안식하시니라 하나님이 일곱째 날을 복 주 사 거룩하게 하셨으니 이는 하나님이 그 창조하시며 만드시던 모든 일을 마치시고 이날에 안식 하셨음이더라.”


 B. 첫째로, 복 주시기 위함이다(창 2:3). 하나님께서는 첫째 날도 아니고 셋째 날도 아니고 창조를 다 마치셨던 일곱째 날을 복 주셨다. 일곱째 날은 창조를 다 마친 후 하나님께서 그 지으신 모든 것을 보고 기뻐하셨던 창조의 기념일이었다. 하나님께서는 이날을 기억하고 창조주 하나님을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축복을 약속하신 것이다. 그것은 시간 속에 내리신 축복이었다. 만일 어떤 인종이나 장소에 축복하셨다면 온 인류가 공평하게 누릴 수 있는 축복이 되지 못했을 것이다. 그러나 시간에 내리신 축복은 그 시간을 기억하는 사람은 누구든지 얻을 수 있는 축복이다. 따라서 이 축복을 받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조건은 그 시간을 기억하는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안식일을 위한 물질적 축복을 예비일에 두 배로 채워주셨고 그것은 안식일에 썩지 않고 그대로 보존되었다. 따라서 사람들은 안식일에 육신을 위해 일할 필요가 없이 하나님과 교제하는 영적인 축복을 누릴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안식일은 즐거운 날이었다(사 58:13, 14). 안식일은 하늘의 공기를 미리 맛볼 수 있는 영원의 창문이었다. 하나님께서는 영원을 7일씩 끊어서 사람들이 미리 맛보도록 하신 것이다. 안식일은 시간 속에 들어온 영원이다.


 C. 둘째로, 우리를 거룩하게 하시기 위해서이다(창 2:3), 안식일은 거룩한 날이다. 거룩하다는 말이 처음으로 일곱째 날 즉 안식일에 사용되었다. 왜 안식일이 거룩한가? 하나님께서 임재하시기 때문이다. 하나님께서 일곱째 날이라는 인간 시간의 유한성 속으로 들어오셔서 함께 쉬시기 때문이다. 아담과 하와는 어떤 공로도 없이 그들의 첫 안식일을 맞이했다. 그리고 거룩하신 하나님을 만나고 함께 쉬었다. 하나님은 우리를 거룩하게 하시는 분이기 때문에(겔 20:12) 안식일에 하나님과 함께 거하는 사람은 의롭고 거룩하게 되어 성화의 길을 걷게 되는 것이다.


 D. 셋째로,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과 함께 안식하게 하기 위해서이다(창 2:3). 하나님께서는 칠일 중 하루가 아니라 바로 일곱째 날에 안식하셨다. 그날에 쉬시고 그 날을 복 주시고 그 날을 거룩하게 하셨다. 아담과 하와의 첫날이 안식일이 었다. 그들은 어떤 일을 하기도 전에 안식일의 쉼으로부터 그들의 삶을 시작했다. 아무일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아무것도 드릴 것이 없었다. 완전히 하나님의 선물, 즉 안식일의 쉼으로부터 그들의 삶이 시작된 것이다. 인간이 맨 처음 목도한 하나님의 행위는 하나님께서 일곱째 날을 복주고 거룩하게 하고 안식하시는 행동이었다. 인간은 그들의 첫날을 하나님과 함께 안식하였다. 믿음으로 말미암는 구원의 진수는 하나님과 함께 안식하는 것이다. 안식일은 이런 중요한 의미와 목적이 있기 때문에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가장 좋은 축복으로 주신 것이다.


 E. 우리는 지금까지 안식일이 왜 중요하며 하나님께서 안식일을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시는 지를 살펴보았다. 안식일이 사람에게 너무나 중요하기 때문에 하나님께서는 안식일 문제를 십계명 중 넷째 계명에 두시기로 작정하셨다. 그러 나 세월이 흐르면서 사람들은 안식일을 일요일로 바꾸어 버렸다. 그리고 아무 생각없이 일요 일을 준수하며 살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하나님께 대한 불순종이며 하나님의 계명에 대한 정면 도전이라고 결론짓지 않을 수 없다. 넷째 계명은 기억하라는 명령으로 시작한다. 시간속에 들어 있는 안식일의 축복을 받는 유일한 방법은 기억하는 것이다.



 III. 안식일은 의식법에 속하기 때문에 다른 계명들처럼 지켜야 할 도덕적 의무가 없다는 주장에 대하여


 A. 먼저 제7일 안식일이 과연 의식법이나 절기인지를 살펴보자. 구약 레위기 23장을 보면 이스라엘 백성들이 지켜야 할 절기들이 나온다. 첫 째는 정월 14일에 지키는 유월절이다. 정월 15일은 무교절이며, 16일은 곡물의 첫 이삭 한 단을 하나님 앞에 흔들어 드리는 초실절이다. 그때로 부터 50일 후에 오순절이 있었으며 7월 1일은 나팔을 불어 기념하는 나팔절이요 7월 10일은 대속죄일이었다. 7월 15일은 광야생활을 회상하면서 초막을 짓고 추수를 기뻐하는 초막절이었다. 그 외에 레위기 23장에서는 일곱개의 절기 안식일 (the seven sabbatical days)을 언급하고 있는데 다음과 같다.

 (1) 무교절의 첫날,

 (2) 무교절 의 마지막 날,

 (3) 오순절,

 (4) 나팔절(7월 1일),

 (5) 대속죄일(7월 10일),

 (6) 초막절의 첫날,

 (7) 초막절의 마지막 날이 그것이다.

 절기나 절 기 안식일들은 장래 일의 그림자이며 십자가로 폐지되었다. 절기 안식일들은 절기와 마찬가지로 표상(type)이고 실체(antitype)가 오면 사라져야 할 그림자들이었기 때문이다.


 B. 가장 결정적인 사실은 제7일 안식일은 그림자가 아니라는 것이다. 제7일 안식일은 다른 절기처럼 애굽의 속박에서 벗어나거나 죄로부터의 용서와 해방을 기념하는 절기로 이스라엘에게 주신 그림자가 아니다. 제7일 안식일은 이스라엘에게 주신 것이 아니요, 타락 전에 인류의 시조인 아담과 하와에게 주셨으며 도덕법인 십계명에 들어있는 하나님의 직접적인 명령이다. 만일 제7일 안식일이 그림자라면 창조 때 하나님께서는 그림자를 축복으로 주신 것이 되며 그림자를 하나님과 그의 백성 사이의 표징으로 삼으신 것이 된다.(겔 20:12, 20).

 레위기 23장도 제7일 안식일을 다른 절기와 구분하고 있다. 모든 절기와 절기 안식일을 설명한 후에 레위기의 기자는 “이것들은 여호와의 절기라 너희는 공포하여 성회를 삼고 ... 이는 여호와의 안식일 외에 ... 너희가 여호와께 드리는 것이니라” (레 23:37, 38)고 말하여 제7일 안식일 이 절기 속에 들어있지 않음을 명백히 했다. 절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여호와의 절기는 이러하니라고 말한 레위기 23:223:4 사이에 제7일 안식일에 대한 설명이 들어있는 것은 안식일이 절기라는 것을 말하려는 것이 아니라 지금부터 설명하려는 절기와는 별개의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기 위하여 삽입한 것이라 보아야 한다. 그것은 레위기 23:37, 38의 말씀으로 명백해진다.


 C.
안식일을 기억하여 거룩히 지키라“ (출 20:8)고 명령하신 십계명의 넷째 계명에 도덕적인 의무가 없는가? 그것은 네 부모를 공경하라는 다섯째 계명과는 명백히 구분되어 오늘날 우리와 상관없는 별개의 성격을 가진 계명인가? 그렇지 않다. 창조주께서 창조후 즉시 ”일곱째 날을 복주사 거룩하게“ (창 2:3) 하셨으며 그 날을 기억하여 거룩히 지키라”고 명령하셨는데 거기에 도덕적인 의무가 없단 말인가? 선생과 학생들이 매주 수요일 오전 9시에 만나기로 약속했다면 학생들이 그 약속을 어겨도 그것이 시간에 관한 문제 이기 때문에 도덕적인 책임이 없는가?

 안식일을 기억하는 것에는 사랑과 순종 그리고 언약과 같은 핵심적인 요소들이 들어있다. 만일 그런 안식일 계명에 도덕적 의무가 없다면 다른 모든 계명에도 도덕적 의무가 없어야 할 것이다. 안식일이 폐했다고 주장하려면 특별히 한 계명만 그렇게 하지 말고 십계명 전체가 폐했다고 말하는 것이 오히려 정직한 것이다.


 D. 장로교의 웨스트민스터 신앙 고백의 해설서도 안식일 계명이 의식법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있다.

 만일 안식일을 거룩하게 지키는 것이 율법주의 적이라면 즉 모세 시대만을 위하여 제정된 의식적인 명령이라고 한다면, 모세 이전 시대의 안식일에 대해서는 설명할 길이 없게 되며, 첫째, 둘째, 여섯째 그리고 기타의 계명들 또한 의식적인 것에 지나지 않게 된다. 그런데 이 남은 계명들은 분명히 의식적인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넷째 계명만을 의식적인 것으로 볼 수는 없는 것이다(고든 H. 클락, 장로교인들은 무엇을 믿는가, 나용화 역 (서울: 1990), 262).


 E. 안식일은 또한 시내산에서 제정된 것이 아니다. 십계명을 주시기 수천년 전 창조 때에 하나님께서 정해 주신 것이다. 십계명의 “안식일을 기억하여 거룩히 지키라” (출 20:8)는 말씀에서 “기억하여”는 안식일이 그전부터 존재했음을 말 해준다.



 IV. 구약에서도 안식일을 폐할 것이 예언 되었다는 주장에 대하여


 구약 호세아 2장은 배도한 이스라엘에게 벌을 주시겠다는 하나님의 선언이다(호 2:13). 따라서 호세아 2:11에서, 하나님께서 “그 모든 희락과 절기와 월삭과 안식일과 모든 명절을 폐” 하겠다고 하신 것은 심판의 선언이다. 그렇게 하나님을 계속 배도하고 떠나면 너희들이 가지고 있는 가장 좋은 것이라도 허사가 되고 말 것이라는 경고이다. 하나님을 떠나서 보호하심을 받지 못하고 외국의 침략을 받게되면 어떻게 절기나 월삭이나 안식일을 지킬 수 있겠는가라는 말씀인 것이다. 이 말씀이 실제로 절기나 안식일을 폐하셨다는 말씀이 아닌 것은 그 후로도 이스라엘이 계속하여 절기와 안식일을 지킨 것을 보아서 분명하다.



 V. 안식일은 애굽에서 해방된 기념일이라는 주장에 대하여


 A. 어떤 사람들은 신명기 5:15에 나오는 “너는 기억하라 네가 애굽 땅에서 종이 되었더니 너의 하나님 여호와가 강한 손과 편 팔로 너를 거기서 인도하여 내었나니 그러므로 너의 하나님 여호와가 너를 명하여 안식일을 지키라 하느니라” 는 말씀을 인용하여 하나님께서 안식일을 지키라고 하신 것은 애굽의 종살이에서 이스라엘을 해방시켰기 때문이며 따라서 우리들에게 하신 말씀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B. 그러나 성경을 아는 사람들은 이 말씀이 그런 뜻이 아님을 알고 있다. 제7일 안식일은 “애굽으로부터 해방”이 아니라 “창조 주일”과 긴밀한 관계가 있으며 유대인에게 비로소 주신 것이 아니고 아담과 하와에게 주신 것이기 때문이다. 안식일은 애굽에서 해방되었기 때문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그 이전부터 존재했던 것이다. 이스라엘 백성에게 기억하라고 말씀하신 것이 그 증거이다. 그렇다면 왜 “인도하여 내었나니 그러므로 너의 하나님 여호와가 너를 명하여 안식일을 지키라”고 하였는가? 그것은 이스라엘이 지금 처한 상황 때문이었다.

 수백 년 동안 애굽에서 종노릇을 하면서 안식일은 심각하게 훼손되었다. 더구나 노예 생활 중 안식일을 기억해 준수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었다. 다른 계명들은 마음속으로 지킬 수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시간을 구분해야 하는 안식일만은 노예들이 마음대로 할 수 없었다. 그러나 지금은 하나님께서 그들을 해방시키셨다. 이제는 안식일을 자유롭게 지킬 수 있도록 해주셨다는 말씀이다. 그래서 하나님께서는 이제 당당하게 이스라엘 백성에게 요청하실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문의 말씀을 풀어쓰면 다음과 같다. “너희들이 애굽에 있을 때는 안식일을 자유롭게 지키지 못했다. 그러나 이제 너희들은 자유다. 그러므로 내가 너에게 명하는데 이제는 안식일을 지키라.”



 VI. 제7일 안식일이 오늘날의 토요일인 것을 무엇으로 알 수 있느냐는 질문에 대하여


 A. 주일의 주기는 세계가 창조되고 하나님께서 친히 “일곱째 날을 복 주사 거룩하게” (창 2:3)하신 이래 한 번도 단절됨 없이 계속되어 왔다. 애굽의 노예 생활에서 벗어나 광야로 나왔을 때 하나님께서는 만나로 친히 어느 날이 안식일인가를 보여 주셨다. 그후 온갖 전쟁과 시련을 겪으면서도 유대인들은 제7일 안식일을 생명처럼 소중하게 지켜왔다. 예루살렘 멸망 후(AD 70) 그들은 사방으로 흩어졌으나 어디에 있든지 안식일을 지키는 것만은 철두철미하게 이어져 내려왔다. 오늘날 이스라엘 사람들이 토요일을 안식일로 아무런 문제 없이 준수하는 것이 안식일이 토요일인 증거 중 하나이다.


 B. 요일의 이름이 정해지기 전에는 모든 날들 이 첫째 날, 둘째 날, 일곱째 날과 같은 식으로 불렸다. 그러다가 후에 요일의 이름들이 태양과 달 그리고 별들의 이름을 따라 정해지고 첫째 날이 일요일이 되고 일곱째 날이 토요일이 되었을 뿐이다. 그러므로 일곱째 날이 중요한 것이지 요일의 이름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C. 안식일이 토요일인 성경상의 확실한 증거가 있다. 성경은 예수께서 금요일에 돌아가시고 안식일에 무덤에 계셨으며 첫째 날에 부활하셨다고 말한다(막 16:9). 예수께서 첫째 날 즉 일요일에 부활하신 것이 분명하며 오늘날 아무도 그 것을 의심하는 사람은 없다. 따라서 예수께서 부활하시기 전날이 안식일 즉 오늘날의 토요일인 것도 분명하다.



 VII. 제7일 안식일은 유대인에게만 주신 “유대인의 낡은 안식일”이라는 주장에 대하여


 A. 먼저 안식일을 누가, 언제, 누구에게, 왜 주셨는가를 성경에서 찾아보자. 그러면 안식일을 유대인에게 주셨다는 말을 할 수 없을 것이다. 안식일은 유대인의 조상 아브라함이 태어나기 수천년 전 창조 주일에 하나님께서 사람의 시조인 아담과 하와에게 축복으로 주신 제도이다(창 2:1-3). 그러므로 안식일의 기원은 유대인과 관계없다.


 B. 예수께서도 안식일이 유대인을 위하여 있다고 하지 않으시고 “사람을 위하여” (막 2:27) 있다고 말씀하셔서 안식일이 온 인류를 위한 제도임을 천명하셨다.



 VIII. 신약 시대에는 안식일의 의미가 일요일로 옮겨졌다는 주장에 대하여


 A. 이 문제에 대해서는 어떤 성경적 근거도, 신학적 근거도 없기 때문에 성경을 아는 사람들은 더 이상 이 이론을 주장하지 않는다. 차라리 일요일이 그리스도께서 부활하신 날이기 때문에 부활의 기념일로 지킨다고 말하는 것이 더 나을 것이다. 그러나 부활은 사건이 중요하지 시간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부활 사건은 우리가 순간 순간 기억해야 할 사건이지 1주일마다 기억해야 할 시간적 사건이 아니다.


 B. 만일 안식일의 의미가 일요일로 옮겨질 것이라면 예수께서 돌아가시기 직전 감람산에서 말씀하실 때에 왜 “너희의 도망하는 일이 겨울이나 안식일이 되지 않도록 기도하라” (마 24:20)고 당부하셨을까? 예수께서 옮기신 것이 아니라, 부활을 기념하여 교회가 그렇게 하였다면 교회는 왜 예수님의 당부를 거역하고 안식일을 옮겨버렸을까? 그렇게 하는 것이 과연 안식일의 주인이신 그리스도께 순종하는 것일까?



 IX. 제7일인가? 1주일 중 하루인가?


 A. 장로교의 웨스트민스터 신앙 고백(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제21장 7항은 하나님께서 “7일 중에 하루를 안식일로 특별히 결정하사 성별토록” 하셨다고 말한다. 과연 성경에 7일 중에 하루라는 말이 나오는가? 웨스트 민스터 신앙 고백은 제7일 안식일 문제를 피하기 위하여 성경에 없는 말을 사용하는 것도 서슴지 않았다.


 B. 성경 어디를 보아도 하나님께서 안식일에 대하여 말씀하시면서 “7일 중에 하루”라고 하지 않으셨다. 하나님께서는 “일곱째” 날에 안식하시고 “일곱째” 날을 복 주셨다(창 2:2, 3). 그리고 십계명에 명확히 못박아 말씀하시기를 “제칠일은 너희 하나님 여호와의 안식일” 이라고 하셨다. 만일 7일 중에 하루라면, 기억하라는 말씀이 도대체 왜 필요하겠는가? 하나님께서는 엄격하게 제 7일을 기억하라고 말씀하신 것이다.



 X. 안식일을 지켜야 구원받는가?


 A. 이 질문은 “부모를 공경해야 구원을 받습니까?” 라는 질문과 같은 평범한 질문이지만, 많은 사람들이 오해하는 문제이다. 안식일을 지키는 것은 율법을 지키는 것이며 따라서 안식일을 지켜야 구원받는다고 주장하는 것은 율법을 지켜야만 구원받는다고 말하는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안식일 준수자들은 율법주의자라고 사람들이 비난한다.

 기독교는 행위로 구원받지 않고 오직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구원받는다는 것을 가르친다. 아무리 선하고 의로운 행위라 할지라도 자기의 행위로 의롭게 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는 것이 기독교의 핵심 진리이다. 이것은 로마서와 갈라디아 서가 거듭거듭 가르치는 진리이다.


 B. 그러므로 “안식일을 지키는 행위”가 우리를 구원할 수 없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구원을 받기 위하여 순종하는 것과 (안식일을 지키는 것) 구원받은 결과로 순종하는 것은 전혀 다르다. 우리는 광복절을 대한민국 국민이 되기 위하여 지 키지 않는다. 그러나 대한민국 국민이므로 광복 절을 기억한다. 광복절에 태극기를 거는 사람을 보고 법에 매달려 사는 율법주의자라고 비난할수 없는 것은 그것이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당연한 행동이기 때문이다. 태극기를 걸지 않고 광복절을 무시하는 사람이 오히려 이상한 사람이다. 그런 사람은 외국인이든지, 혹은 대한민국의 국민인 것을 조금도 자랑스러워하지 않는 사람일 것이다. 안식일도 마찬가지이다. 안식일을 지키는 기독교인들은 의롭게 되기 위하여 안식일을 지키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피로 값없이 의롭게 되었기 때문에 순종하여 안식일을 지킨다. 구원받은 사람이 십계명 속에 들어있는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것으로서 다른 핑계를 댈 필요가 없고 그렇게 할 여지도 없는 것이다.


 C. 안식일을 지키는 행위 없이도 구원을 받는다면 안식일을 지키는 사람들은 왜 전도하는가? 순종이 따르지 않는 구원이 올바른 구원일 리가 없다. 그것은 야고보가 적절히 지적한 대로, 죽은 믿음이다(약 2:26). 그리스도인들이 안식일 계명을 가르치는 이유는 다른 그리스도인들에게 참된 구원의 의미와 순종을 가르쳐 주기 위함이다. 가인과 아벨은 둘다 하나님의 구원의 계획을 들었다. 그러나 가인은 자기 생각대로 그가 추수한 농산물로 제사를 드렸다. 불순종하는 가인이 하나님의 구속의 경륜을 이해하고 온전히 믿음대로 살고 있다고 볼 수 있겠는가? 이럴때 아벨의 책임과 존재 이유는 무엇인가? 가인을 찾아가 참되고 온전한 믿음이란 하나님께 순종하는 것임을 가르쳐 주어야 하지 않겠는가? 가인이 아벨을 미워할지라도 가인을 권면하여 믿음과 행함이 일치하는 신앙을 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아벨의 책임일 것이다.



 XI. 매일 안식일과 같은 삶을 산다면 구태여 1주일 중 하루를 안식일로 정하여 지킬 필요가 없다는 주장에 대하여


 이 질문은 우선 안식일을 만들고 우리에게 주신 하나님의 목적을 오해한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매일을 안식일처럼 지내라고 말씀하신 일이 없다. 그리고 사람은 매일을 안식일처럼 살 수도 없다. 하나님께서는 “엿새 동안은 힘써 네 모든 일을 행”할(출 20:9) 것이지만 제7일 안식일은 기억하여 거룩히 지키라고 하셨다(출 20:8). 힘써 일하는 엿새가 있기 때문에 비로소 안식일이 있는 것이다. “매일 안식일과 같은 삶을 산다”는 것은 안식일 없이 산다는 말과 마찬가지이다.



 XII. 신약에 그리스도를 믿는 이방인들에게 안식일을 지키라고 말한 부분이 있는가?


 이 질문에는 안식일은 유대인에게 주셨다는 생각이 깔려 있다. 그러나 안식일은 창조시에 제정되어 아담과 하와에게 주신 것으로서 수천 년 후에 생겨난 유대인과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에게 주신 것이다. 예수께서도 안식일이 유대인을 위하여 있다고 하시지 않고 “안식일은 사람을 위하여 있”다(막 2:27)고 하셨다. 예수 당시에는 안식일을 지키는 것이 너무나도 당연한 사회적, 종교적 관습이요 의무였기 때문에 안식일에 관한 것은 논란의 대상이 되지 않았다. 바울도 예수께서 돌아가신 지 20년 후에도 신실히 안식일을 지켰으며 빌립보라는 도성에서는 교회(회당)가 없었기에 강가에까지 가서 안식일을 준수하였다(행 16:13).

 그러므로 그 당시에 그리스도를 받아들인 사람들이 계명에 따라서 안식일을 지키는 것은 당연 한 것이었을 뿐만 아니라 그날에 해서는 안되는 39가지의 금지 조목을 법으로 정할 만큼 철저한 의무였기 때문에 유대인이고 이방인이고 간에 안식일을 지키라는 특별한 부탁을 할 필요가 없었다. 오히려 안식일을 그런 법조문에 매어 지키지 말고 원래의 참뜻을 깨달아 지켜야 한다고 예수께서는 권면하고 계신다(마 12:9-14; 막 3:1-6; 눅 6:6-11). 이것은 역설적으로 안식일을 잘 지켜야 한다는 권면이 아니겠는가? 안식일이 만일 폐했다면 그 참된 뜻을 아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XIII. 안식일은 안식하는 날이지, 예배를 드리라는 성경상의 근거가 있는가?


 우선 알아야 할 것은 안식일은 단순한 휴식의 날이 아니라는 것이다. 안식일은 창조주 하나님과 만나 복을 받고 거룩하게 되고 하나님과 함께 안식하는 깊은 뜻을 가지고 있다(창 2:3). 그리고 “하나님과 만나 복을 받고 거룩하게 되고 하나님과 함께 안식하는” 것의 중심에는 예배가 있다. 그래서 예수께서도 그 제자들도 안식일에는 어김없이 규례대로 회당에 가서 예배를 드렸던 것이다.



 XIV. 일요일은 예수께서 부활하신 날이기 때문에 구속의 날로서 의미가 있다고 일부 학자들은 주장한다. 거기에 비하여 구속의 기념일로서 안식일의 의미가 명확히 드러나는 성경 구절이 있는가?


 우선 안식일은 구속의 기념일이 아니라 창조의 기념일임을 알아야 한다. 안식일은 인간이 타락하기 이전에 즉 구속이 필요하기 이전에 사람에 대한 축복으로 주어진 것이다. 안식일에 구속의 의미가 있다면 타락한 이후에 생겨난 것이다. 즉 죄악 세상에 살지만 1주일에 한 번씩 어김없이 돌아오는 안식일은 타락 이전에 제정된 제도이기 때문에 우리가 영원한 구원을 미리 맛보는 날로서의 의미를 갖게 된 것이다. 안식일이 갖게 된 구원과 치료와 회복의 의미는 예수께서 안식일에 병을 고쳐주시면서 명확히 말씀하셨다(막 2; 눅 13; 14; 요 5; 9을 참고할 것).

 그리고 일요일에 구속의 의미가 있다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부활은 사건이 중요한 것이지, 부활의 시간이나 어느 요일에 부활하셨는가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일요일에 구속의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부활 사건에 구속의 의미가 있다. 예수께서는 일요일이 중요해서 그 날에 부활하신 것이 아니라 안식일 이튿날이기 때문에 부활하신 것뿐이다.



 XV. 우리가 쓰는 달력은 두 번이나 바뀌었다고 하는데 그 와중에 안식일에도 어떤 변동이 있지 않았을까? 달력이 바뀌었어도 요일은 틀림이 없다는 증거가 있는가?


 A. 안식일에는 아무런 변동도 없었다. 역사상 달력에 두 번의 변동이 있었다. 그러나 율리우스 달력(Julian Calender)에서 그레고리우스 달력(Gregory Calender)으로 변동할 때 주일의 요일에는 아무런 변동이 없었다. 율리우스 달력에는 날짜 계산에 계속적인 착오가 있어서 마침내 춘분이 3월 21일이 아닌 3월 11일이 되었기 때문에 10일의 착오가 생겼다. 이것을 수정하기 위해서 1582년 교황 그레고리우스세는 달력 변경령을 공포하고 10월에서 10일을 빼냈다. 즉 10 월 4일(목) 다음날을 10월 15일(금)로 고친 것이다. 그러나 요일 시스템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1752년에는 영국 국회가 다시 한번 날짜 수정의 필요를 느끼고 법에 의하여 9월에서 열 하루를 뺐다. 즉 9월 2일(수) 다음 날을 9월 14일(목)로 바꾼 것이다. 그러므로 날짜에는 차이가 생겼지만 요일에는 아무런 변동이 없었다.


 B. 달력의 날짜만을 조정하면 요일에는 변동이 없다. 지금까지의 달력 변경은 다 날짜를 바꾸는 것이었기 때문에 요일에는 변함이 없었다. 그러나 만일 매년 1월 1일이 일요일로 시작하도록 달력을 개정한다면 일곱째 날을 요일로 지키는 것은 일대 혼란이 일어날 것이다.



 XVI. 날짜 변경선 문제는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미국에서의 안식일과 한국의 안식일은 서로 시간이 다른데 그 문제는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


 A. 안식일을 정확히 지키기가 어렵기 때문에 안식일을 기억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날짜 변경선 문제나 지역에 따라 안식일 시간이 다름을 문제삼는다. 날짜 변경선 문제란 무엇인가? 여행자가 태평양을 동서로 횡단할 때 날짜 변경선을 지나면서 하루를 얻거나 잃어버리게 된다고 우리는 알고 있다. 금요일 저녁에 날짜 변경선을 지나는 사람은 아침에 일어나 보면 그날이 토요일이 아니라 일요일인 것을 발견하게 된다. 안식일이 없어진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안식일을 지킬 수 없는가?

 먼저 날짜 변경선에 대하여 알아야 할 것은 일부 변경선은 우리가 상상하는 대로 실제로 하루를 잃어버리거나 얻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시간 자체에는 변함이 없다. 그것은 단지 지구 이편과 저편의 시간의 차이를 맞추기 위하여 편의상 날짜를 조절해 주는 것일 뿐이다. 그것은 날짜 계산에서 야기될 수 있는 모든 장애물들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지구상의 모든 지역들의 날짜를 통일시켜 주는 조정기 역할을 하는 것이 일부 변경선이다. 오히려 날짜 변경선이 있기 때문에 우리는 혼란 없이 안식일을 지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B. 하나님은 기계적인 분이 아니다. 지구가 둥글기 때문에 미국과 한국의 시간이 다른데 모든 사람들에게 똑같은 시간을 기억하라고 말씀하지 않으셨다. 레위기 23:3에서 하나님께서는 “이는 너희 거하는 각처에서 지킬 여호와의 안식일” 이라고 말씀하신다. 각각 자기가 사는 곳에서 해질 때부터 해질 때까지 안식일을 기억하면 되는 것이다(레 23:31, 32). 한국에서 비행기를 타고 금요일 오후에 미국으로 출발하면 12시간 이상이 지났는데도 다시 금요일 오후에 미국에 도착하게 된다. 그러면 미국 사람들과 함께 미국의 안식일을 즐기면 될 것이다. 미국에서 돌아올 때는 반대로 금요일 오후에 비행기를 타면 일요일에 서울에 도착하게 된다. 안식일이 아주 짧게 지나가 버리는 것이다. 불가피한 일이 있어 금요일 비행기를 탔을 때는 비행기 안에서 지나가는 짧은 안식일이 그의 안식일이 될 것이다.



 XVII. “절기나 월식이나 안식일”(골 3:18)이란 표현에서 절기 안식일은 절기 속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안식일은 제7 일 안식일이라는 주장에 대하여.


 A. 제7일 안식일은 일반적으로 절기와 함께 나란히 나오지 않고 “여호와의 안식일” 등으로 표시된다(레 23:3). 그러나 이곳의 안식일이 제7 일 안식일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면, 과연 그런지 이 절의 평행절이나 그 다음 문맥을 자세히 봐야 한다.


 B. 먼저 골로새서 2:16과 평행절인 갈라디아서 4:10, 11을 보면 “너희가 날과 달과 절기와 해를 삼가 지키니 내가 너희를 위하여 수고한 것이 헛될까 두려워” 한다고 기록되었다. 골로새서 2장과 같은 주제를 다루고 있는 말씀이다. 골로새서 2:16의 안식일에 해당되는 것을 갈라디아서에서는 “날들” 이라고 쓰며 원어에도 복수로 되어 있다. 문제가 되는 것은 “날들”(헤메라스, hèmeras)이다. “날들”이란 말이 과연 제7일 안식일을 의미하는가? 그러나 성경에서는 제7일 안식일을 말하면서 “날” 이란 헬라어 헤메라(hémeras)를 사용하지 않으며 더구나 복수로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갈라디아서의 날들이란 절기 안식일이 틀림없다. 따라서 대구인 골로새서 2:16의 안식일도 절기 안식일이다.

 또한 골로새서 2장은 절기와 의문의 율법을 지키는 율법주의자들에 대한 말씀이기 때문에 제7 일 안식일에 대한 언급이 아닌 것이다. 또한 바울 이 제7일 안식일이 그림자이며 십자가로 폐했다고 주장했다면 엄청난 충격과 저항에 부딪혔을텐 데 성경에는 안식일에 대해서 어떤 반박이나 충격도 나타나지 않는다.



 XVIII. 새 하늘과 새 땅에서는 안식일을 지키지 않는다는 주장에 대하여


 어떤 사람들은 이사야 66:22, 23에 나오는 말씀, 즉 “새 하늘과 새 땅에서 매 월삭과 매 안식일에 모든 혈육이 하나님 앞에 경배할 것” 이라는 말씀은 재림 후 천국에서 있을 사건을 말하는 것이 아니며, 구약 시대에 성취된 사건이기 때문에 안식일은 천국에 가서도 존재하는 영원한 것이라는 해석은 틀렸다고 주장한다. 그 근거로 그들은 다음과 같은 이유를 든다.

 (1) “새 하늘과 새 땅에서” 라고 직접적으로 말하지 않고 “새 하늘과 새 땅이 내 앞에 항상 있을 것같이” 라고 되어 있기 때문에 이사야 66:22의 말씀은 새 하늘과 새 땅이 내 앞에 항상 있을 것처럼 이스라엘을 버리지 않겠다는 위로의 말씀에 불과하다.

 (2) 새 하늘과 새 땅에서도 안식일을 지키는 것이 지금 안식일을 지키는 한 증거가 된다면 월삭도 지금부터 지켜야 할 것이다. 왜 월삭은 지키지 않는가?

 (3) 월삭이 십자가에서 폐한 것처럼 안식일도 폐한 것이다.

 (4) 매 월삭과 매 안식일에 모든 혈육이 이르러 하나님 앞에 경배한다고 했는데 천국에는 혈육이 없기 때문에(고전 15:50) 이 기사는 천국에 대한 말씀이 아니고 구약 시대에 속한 어느 때의 일이다.

 그러나 이런 주장은 이사야서의 전체적인 주제와 구조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생기는 오해이다. 위의 잘못된 주장에 대하여 간단히 대답하면 다음과 같다.

 (1) 그렇게 주장하는 것은 이사야서 전체의 내용과 흐름을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전체 구조를 무시하고 한 구절을 따서 자기의 목적에 이용하는 일은 성경 해석에서 가장 피해야 할 것이다. 이사야 66장은 심판과 회복의 기별을 외친 이사야서의 총 결론이며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과 구원받은 자의 복된 미래의 삶에 대한 예언인 58-66장의 종결부분이다(그랜드 종합주석, 제9권, 1301). 하나님의 최후 심판과 악인들의 멸망(66:24) 그리고 하나님께서 지으실 새 하늘과 새 땅에서 하나님의 백성들이 경배하는 일을 설명하는 대선지자의 장엄한 묘사인 것이다. 이것이 구약 시대에 성취된 예언만이 아님은 최후의 심판을 묘사하는 66:24의 말씀이 그것을 증거한다. 성경에 대해 아는 사람이라면 66:24의 사건이 구약 시대에 다 이루어졌다고 주장하지는 못할 것이다.

 “새 하늘과 새 땅이 내 앞에 항상 있을 것같이” 라는 말씀은 단지 이스라엘을 버리지 않겠다는 위로의 말씀에 불과한 것이 아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백성들이 새 하늘과 새 땅에서 함께 영원히 살 것이라는 보증의 말씀이다. 만일 구원받은 사람들이 새 하늘과 새 땅에 있지 않다면 도대체 어디에 항상 있는다는 말인가? 이사야 66장이 마지막 심판과 새 하늘과 새 땅에 관한 말씀이라는 것은 모든 성경 주석들이 동의하는 것이기 때문에 더 이상 설명은 필요하지 않다.

 (2) 월삭(new moon)은 이스라엘이 사용하는 음력 달의 첫날을 말한다. 이스라엘은 음력을 사용했기 때문에 그믐달이 지고 첫 초승달이 나타나는 날을 새로운 달의 시작으로 잡았다. 이날에 제사장은 나팔을 불어 새로운 달의 시작을 알리고 백성들은 다시 한 번 마음을 가다듬어 하나님께 나아가는 날이기도 했다. 따라서 월삭은 유월절이나 대속죄일 같은 절기와는 달리 어떤 것의 표상이 아니라 단순히 새로운 달의 시작을 알려주는 시간적 의미가 강하다. 이사야 66:23에서 말하는 월삭도 어떤 절기라기보다는 매달의 첫날이라는 의미다. 새 하늘에서는 매 달의 첫날과 매 안식일에 하나님 앞에 경배한다는 것이다.

 안식일은 새 하늘과 새 땅에서 준수하기 때문에 지금부터 지키는 것이 아니라 창조 때부터 하나님께서 제정하시고(창 2:1-3) 십계명에도 명하셨기 때문에 우리가 오늘날도 순종하는 것이다. 안식일은 인간을 죄에서 구원하시기 위해 주신 제도가 아니고, 타락 전에 원래 하나님께서 사람을 위하여 제정하셨기 때문에 회복된 하늘에도 안식일이 있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3) 유대인들이 매월의 첫날로 삼던 월삭은 이제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우리가 양력을 쓰기 때문에 초승달이 처음 나타나는 날이 특별한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음력을 쓸 경우에는 지금도 월삭 즉 초승달이 처음 나타나는 달의 첫 날은 시간 계산에 의미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유대인의 절기로서 월삭의 의미도 지금 우리들에게는 없어졌다. 그러나 안식일은 다르다. 안식일은 단순히 시간을 나타내는 신호가 아니라 창조때부터 제정하신 특별한 제도요 유대인들에게 주신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들에게 주신 것이기 때문이다. 안식일은 타락 전에 주신 것이기 때문에 십자가의 표상인 그림자가 아니요 십자가로 폐하는 것도 아닌 영원한 것이다.

 (4) 천국에는 혈육이 없기 때문에(고전 15:50) 혈육이 모인다는 이 기사는 천국에 대한 말씀이 아니고 구약 시대에 속한 어느 때의 일이라는 이론에 대하여는 다음과 같이 대답할 수 있다. 성경에서 혈과 육이라는 말은 어떤 “영적인 존재”에 대하여 단순히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창 6:19, 8:17; 시 56:4; 마 16:17; 갈 1:16; 히 2:14), 예수께서도 이 땅에 계실 때 혈육에 속하였다(히 2:14). 아담과 하와는 혈과 육이 있는 생명으로 창조되었다. 타락 전에 그들은 혈육이었다. 그러므로 새 하늘과 새 땅에서도 사람은 혈육을 가진 존재인 것이다. 그렇다면 “혈과 육은 하나님 나라를 유업으로 받을 수” 없다는 고린도전서 15:50의 말씀은 어떻게 된 것인가? 고린도전서 15:50의 혈과 육은 변화되기 전 죄악의 육체를 말하는 것이다. 썩지 않을 몸 즉 변화된 혈육이 되어야 재림을 맞이할 수 있다는 말이다. 따라서 그랜드 주석의 설명은 옳다고 하겠다. 여기서 모든 혈육은 66:16의 모든 혈육 곧 육체를 따라 난 자들과는 대조적으로 성령을 따라 난 자들을 가리킨다. 따라서 본문은 구원받은 성도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께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하게 될 것을 예언한 것이다 (그랜드 종합주석 제9권, 1307).

 결론적으로 이사야 66:22, 23에서 말한 것 즉 새 하늘과 새 땅에서 구원받은 성도들이 매 월삭과 매 안식일에 경배한다는 말씀은 아무 문제될 것이 없다. 매 월삭이라는 것은 매월 첫날을 의미하는 시간적인 것이요 안식일에 경배하는 것은 창조 때부터 그렇게 한 것이기 때문에 새 하늘에서 다시 회복되는 것은 당연하다.



 XIX. 사랑의 하나님께서 안식일(토요일)에 드리는 예배는 받아 주시고 일요일 예배는 거절하시겠는가? 정성으로 예배를 드린다면 어느 날이든 괜찮지 않을까? 하루 사이인데 그렇게 구분할 필요가 있을까?


 먼저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은 안식일 문제는 예배를 토요일에 드리느냐 일요일에 드리느냐 하는 예배일의 문제가 아니라는 사실이다. 그것은 하나님께 순종하느냐 불순종하느냐 하는 기독교 핵심의 문제이다. 만일 안식일을 무시해버리고 아무 날이나 하루를 택하여 예배를 드림으로써 문제가 해결된다면 “안식일을 기억하여 거룩히 지키라 제칠일은 너희 하나님 여호와의 안식일인 측”으로 시작되는 십계명의 네번째 계명(출 20:8)은 그 의미를 잃게 된다.

 쉬운 예를 하나 들어보자. 8월 15일은 광복절이다. 그날은 의미로 가득찬 날이며 기억해야 하는 날이다. 우리는 아침부터 태극기를 내걸어 그 날을 경축한다. 8월 16일은 8월 15일과 불과 하루 사이지만 아무 날도 아니다. 광복절의 의미는 단 하나도 없다. 단지 광복절 이튿날일 뿐이다. 어린이날 어린이들은 고궁에 무료로 들어갈 수 있고 그날의 특권을 누린다. 만일 어떤 어린이가 5월 6일에 고궁에 무료로 들어가려고 한다면 어떻게 될까? 우리 집은 5월 5일 어린이날이 너무 복잡하기 때문에 5월 6일을 어린이날로 하기로 했다고 주장하면 그 주장이 통할 수 있을까? 5월 6일은 어린이날과 아무 상관이 없는 날이며 단지 그 이튿날에 불과하다. 이것이 기억해야 하는 모든 날들의 특징이다. 그렇지 않다면 기억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우리는 흔히 아담의 아들 가인은 동생을 죽인 살인자요 전형적인 악인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가인이 제사를 드리지 않은 것이 아니었다. 가인과 아벨은 둘다 하나님께 제사를 드렸다. 가인은 그의 처음 익은 농산물로 제물을 드렸고 아벨은 양을 잡아 제사를 드렸다. 아마도 정성으로 보면 가인이 더 많은 시간과 정성을 쏟았을 것이다. 농산물을 준비하는 것이 어린양 한 마리를 잡는 것보다 훨씬 더 복잡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가인의 제사는 본 척도 하지 않으시고 동생 아벨의 제사만 받아 주셨다. 이것이 가인을 격노케 했다. 그래서 죄 없는 동생을 박해하고 죽였던 것이다. 우리는 가인과 아벨 이야기를 읽으면서, 사랑의 하나님이신데 제물이 농산물이면 어떻고 어린양이면 어떠냐고 말할 수는 없다. 그것은 제물의 종류 문제가 아니라 순종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안식일도 마찬가지이다. 아무날 이나 하루 하나님께 경배하는 것이 안식일의 목적이라면 “기억하라”는 말로 시작되는 십계명의 제4계명에 넣어 놓지도 않으셨을 것이고 제7일을 지명하지도 않으셨을 것이다.



 XX. 많은 교회들이 십계명을 준수한다고 하면서도 안식일을 지키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기독교 서점에 가면 “십계명 해설” 이라는 책이 여러 종류 출판되어 있다. 기독교인들의 삶의 규범이 되는 십계명을 하나 하나 해설한 책이다. 다른 계명은 해설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상당수의 기독교인들이 순종하지 않는 네 번째 계명, 즉 안식일 계명은 어떻게 해설하고 있을까?

 십계명을 해설한 책들의 넷째 계명 해설 내용은 모두 비슷하게 구성되어 있는데 제 1부는 안식일의 중요성이다. 그리고 제2부는 그렇게 중요한 성경상 안식일을 왜 지키지 않고 일요일을 지키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여기서는 1981년에 교문사에서 출판한 이순경 목사의 십계명 해설을 살펴보기로 한다.

 저자는 제 4계명을 해설하면서 다른 책들과 마찬가지로 안식일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제 1부를 시작하고 있다. 그 중에서 몇 문장을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10계명을 주시기 오래 전부터 벌써 안식일을 지키게 하셨던 것입니다. 안식일은 성별된 날입니다. 안식일은 다른 날과 같지 아니합니다. 하나님은 그날을 특정한 날로 만드셨습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다른 날처럼 안식일을 다룬다면 그것은 하나님께 범죄하는 것이 됩니다(79쪽),

 그러므로 하나님이 세우신 안식일을 거룩히 지키기에 힘써야 할 것이요, 제4계명은 가장 중요한 계명임을 명심해야 할 것입니다 (84쪽).


 참으로 안식일의 중요성을 잘 강조하고 있다. 심지어 안식일 계명이 계명 중에서 가장 중요한 계명이라고까지 주장하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제2부에서 시작된다. 제 2부의 제목은 “안식일과 주일” 이다. 제 2부에서는 그렇게 중요한 안식일을 그리스도인들이 왜 지키지 않는가 하는 문제에 대한 답변이다. 저자는 거기에 대하여 분명한 대답을 해 주겠다고 약속한다. 그러고는 오늘날 교회에서 성경상 안식일 대신에 일요일을 지키는 이유는 교리문답 59조에 나와 있다고 대답한다. 다시 말하면 성경에서는 그 이유를 찾아볼 수 없다는 말이다. 그러나 인간이 만든 교리문답 59조는 우리 신앙의 근본이 될 수 없다.

 안식일을 지키지 않는 이유에 대하여 가톨릭은 무엇이라고 설명하는가? 박도식 신부가 쓴 천주교와 개신교(서울: 가톨릭 출판사, 1997)라는 책 72쪽에는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


 박 신부: 예 먼저 하나 물어보겠어요. 개신교에서는 일요일을 주일로 지내고 있지요? 성경 어디에서 그 근거를 찾아볼 수 있습니까? 성경에는 분명히 안식일을 주장했고 안식일은 토요일입니다. 어찌하여 성경에도 전혀 (근거가) 없는 일요일을 주일로 지내고 있습니까?

 송양: ?!

 박 신부: 성경에는 그런 말(일요일을 지키라는 말)이 전혀 없습니다. 일요일을 주일로 지내는 것은 예수님이 부활하신 일요일을 신약 시대의 중심일로 생각하고 사도들이 정한 것입니다. 이런 전통은 가톨릭에서가 아니면 어느 종파에서도 말할 수 없는 것입니다.


 위의 글은, 그리스도인들은 오직 성경(sola scriptura)만으로 살아야 되기 때문에 성경에 없는 교리들(마리아 숭배 등)을 가지고 있는 가톨릭은 틀렸다는 개신교의 주장에 대한 가톨릭측의 반박이다. 성경 말씀 그대로 순종하려면 안식일을 지켜야 맞지, 왜 전혀 성경적 근거가 없는 일요일을 지키면서 그런 주장을 하느냐는 비난이다. 일요일 준수는 가톨릭이 교회의 권위로 그렇게 변경하였기 때문에 교회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고 오직 성경만을 주장하는 개신교는 일요일 준수를 하면 안되며 스스로 모순에 빠지게 된다는 박 신부의 설명은 반박할 수 없는 주장이다.

 우리는 위에서 성경상 안식일 대신 일요일을 주일이라고 부르며 준수하는 이유에 대하여 개신교측의 답변과 가톨릭의 답변을 들어보았다. 그러나 교리문답 59조에 근거한 개신교의 답변이나 교회가 교회의 권위로 안식일을 일요일로 바 꿨다는 가톨릭의 주장은 둘다 성경적이지 못하며, 정직한 그리스도인은 그것을 받아들일 수 없다. 하나님의 계시로 된 성경 말씀은 엄숙한 것이어서 어떤 인간도 바꿀 수 없다. 계시에 손을 대는 그 순간 그것은 종교로서의 생명을 잃어버린다(계 22:18, 19).



 XXI. 성경에 일요일(첫째 날을 정기적으로 지켰다는 근거가 있는가?)


 일요일을 준수하는 학자들은 초기교회가 일요일에도 모였다는 증거로 세 성경절을 제시하고 있다(행 20:7; 고전 16:2; 계 1:10). 그러나 그 세 성경절들은 그렇게 주장하는 학자들도 스스로 민망해 할 정도로 전혀 첫째 날 준수의 증거가 되지 못함은 이미 난해절 해설에서 상세히 밝혔다. 결론적인 사실만 다시 한번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A. 사도행전 20:7은 초기교회 신자들이 안식 후 첫날 즉 일요일에 모였다는 증거가 될 수 없다. 안식 후 첫날이라고 기록된 그날 밤은 일요일 밤이 아니라 「새번역」신약이 정확히 번역한 대로 안식일 밤이다. 일요일 밤은 유대력에 의하면 이미 둘째 날이기 때문이다. 더구나 그날 밤 드로아에서 다락방 집회는 정기 집회라기보다는 날이 새면 위험한 길을 떠나야 할 바울의 송별 집회였다. 초기교회에서 떡은 성도들이 모이는 곳이면 날마다라도 떼었기 때문에 정기 집회의 증거가 될 수 없다. 그리고 바울은 날이 새어 일요일 새벽이 되면 먼길을 떠나려고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에 첫째 날을 준수하는 것은 그의 계획에 없었다.


 B. 고린도전서 16:2에서 첫날에 저축하라는 것은 연금을 계산하는 날의 편리성을 말하는 것이지 첫째 날에 모였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연금을 한데 모으라고 한 것이 아니라 각 사람이 저축하여 두라고 말씀한 것이 그것을 증거한다. 연금을 각 사람이 개인적으로 하라고 했다. 즉 단독으로 하는 행위에 대한 말씀이지 교회에 모여 단체로 헌금하는 것을 언급한 것이 아니다. 다시 말하면 “각 사람”을 향한 개인적 부탁이지 교회에 부탁하는 것이 아니다. 연보를 각 사람이 “저축하여 두라고” 했다. 매 주일 첫날에 교회에 가져와서 바치라는 말이 아니고 매 주일 첫날에 계산한 다음 바울이 갈 때까지 개인적으로 보관해 두라는 말이다.

 그러므로 이 성경절을 일요일 준수의 근거로 삼으려는 것은 근거가 너무나 빈약하다. 이것은 극히 개인적인 부탁이요 각 사람이 갑자기 연금을 하지 않고 조직적으로 또 효과적으로 연금을 모아 놓을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 것뿐이다. 바울이 사람들에게 매 주일 첫날에 수입을 계산하라고 권하기 때문에 이 구절은 오히려 일요일에는 공중모임이 없는 날이었다는 증거가 된다고 하겠다.


 C. 요한계시록 1:10“주의 날”이 일요일 준수의 증거가 될 수 있는가? “주의 날”에 대한 성경의 유일한 단서는 마가복음 2:28에 나오는 “이러므로 인자는 안식일에도 주인” 이라는 말씀 속에서 찾아볼 수 있다. 안식일이 “주의 날” 이라는 명백한 말씀이다. “주의 날” 이 일요일이라는 어떤 성경적 근거도 없기 때문에 요한이 그렇게도 주저하지 않고 당당하게 언급한 “주의 날”은 일요일이 아니고 안식일 즉 오늘날의 토요일임에 틀림없다.

 요한이 계시록을 썼던 AD 1세기말에 첫째 날 즉 일요일을 “주의 날” 이라고 불렀다는 어떤 기록도 없다. 그런 기록이 나오는 것은 2세기 후반에 와서였다. 그러므로 요한이 “성령에 감동하여 ... 나팔 소리 같은 큰 음성”을 들은 날은 일요일이 아니라 오늘날의 토요일인 안식일이었다.



 XI. 모든 그리스도인들은 안식일을 지켜야 하는가?

 이 질문은, 모든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해야 되는가 혹은 모든 그리스도인들은 십계명을 지켜야 하는가라는 질문과 동일하다. 왜냐하면 안식일을 거룩히 지키라는 것은 십계명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네 부모를 공경하라는 다 섯째 계명을 지켜야 하느냐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이 너무나 자명한 것처럼, 안식일 준수에 대한 답변도 자명하다. 하나님의 말씀을 중히 여기고 순종하기로 결심하는 모든 그리스도인들은 안식일을 기억하여 거룩히 지키라는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해야 한다. 이것은 율법주의의 문제가 아니다. 일요일을 지키는 것이 율법주의가 아닌 것처럼 십계명의 말씀대로 안식일을 기억하여 지키는 것은 전혀 율법주의의 문제가 아니다. 그것은 순종의 문제이다. 그리고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며 사는 것은 그리스도인의 자연스러운 의무이고 특권이다.




 주석 및 참고 도서


 Balz, Horst, and Gerhard Schneider, eds. Exeget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3 vols. Grand Rapids, MI: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91-1993.

 Bruce, F. F., ed.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MI:Eerdmans, 1978.

 Coggins, R. J., and J. L. Houlden. A Dictionary of Biblical Interpretation. Philadelphia: Trinity Press, 1990.

 Fee. Gordon D. New Testament Exegesis: A Handbook for Students and Pastors, Philadelphia:Westminster Press, 1993.

 Hayes, John H., and Carl R. Holladay. Biblical Exegesis: A Beginner’s Handbook. Atlanta, GA:John Knox Press, 1982.

 Hendriksen, William. New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Baker Book House, 1982.

 Kaiser, Walter C., Jr. Toward an Exegetical Theology: Biblical Exegesis for Preaching and Teaching. Grand Rapids, MI: Baker Book House, 1989.

 Liefield, Walter L. New Testament Exposition: From Text to Sermon. Grand Rapids, MI: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84.

 Mays. J. L., ed. Interpretation. Atlanta, GA: John Knox Press, 1987.

 Nichol, Francis D., ed. The Seventh-day Adventist Bible Commentary. 7 vols. Washington, DC:Review and Herald Publishing Association, 1976.

 Turnbull. Ralph. Proclaiming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MI: Baker book House, 1979.

 Vine, W. E. An Expository Dictionary of New Testament Words. New York: Thomas Nelson Publishers, 1984.

 김기곤, 신약의 구조, 서울: 풀빛목회, 1997.

 ________신약 성경의 이해, 서울: 시조사, 2001.

 ________신약 성경 난해절 해설 사전, 서울: 시조사, 1999.

 게벨라인(Gaebelein, F. E.), 엑스포지터스 성경연구주석. 서울: 기독지혜사, 1983.

 기독지혜사 편집부, 호크마 주석, 서울: 기독지혜사, 1990.

 데이크 (Dake, F. J.). 데이크 신약성경주석, 서울: 성원출판사, 1984.

 렌스키(Lenski, R. C. H.), 신약주석, 문창수 역, 서울: 백합출판사, 1973.

 몰간(Morgan, G. Campbell), 신약성서 주석, 서울: 아가페출판사, 1993,

 바클레이(Barclay, William), 성서 주석 시리즈. 전17권, 황장욱 역, 서울: 기독교문사, 1975.

 성서교재간행사. 그랜드 종합주석, 전16권, 서울: 성서교재간행사, 1991.

 윤대화, 일요일 준수의 기원과 역사, 서울: 시조사, 1999.

 에릭슨(Ericksen, W. H.), 에릭슨 성경주석. 김만풍 역. 서울: 아가페출판사, 1983.

 이상근. 신약성서 주해,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본부 교육부, 1975

 젠센(Jensen, Irving L.), 젠센신약주석, 김만붕 역. 서울: 아가페출판사, 1982.

 풀핏번역위원회(편), 풀핏성경주석, 대구: 보문출판사,1981.

 헨드릭슨(Hendriksen, William), 헨드릭슨 성경주석, 김유배 역, 서울: 아가페출판사, 1985.


 마태복음

 Allen, Willoughby C. Critical and Exegetical Commentatry on the Gaspel According to St. Matthew. Edinburgh: T & T Clark, 1977.

 Barclay. William. The Gospel of Matthew.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75.

 Brook, Stepenson H. Matthews Community. sheffield: JSOT Press, 1987.

 Brunner, Frederick Dale. Matthew. London: Word Publishing, 1990.

 Filson, Floyd. V. Commentary on the Gospel According to St. Matthew. London: A C & C Black, Yale Univ. Press, 1987.

 Jensen, Irving L. Matthew. Chicago: Moody Bible Institute, 1974

 Kingsbury, Jack Dean. Matthew.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6.

 ______Matthew as Story.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8.

 Lenski, R. C. H. The Interpretation of St. Matthews Gospel. Minneapolis: Augsburg Publishing House, 1961.

 MacArthur, John. Matthew. The MacArthur New Testament Commentary. Chicago: The Moody Bible Institute, 1989.

 McNeile, Alan Hugh. The Gospel According to St. Matthew. Grand Rapids, MI: Baker Book House, 1980.

 Morgan, G. Campbell. The Analyzed Bible Matthew. Grand Rapids, MI: Baker Book House, 1983.

 Mounce, Robert H. Matthew. New International Biblical Commentary. Peabody. MA: Hendrickson Publishers, 1991.

 Plummer, A. An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Gospel According to St. Matthew. Grand Rapids, MI: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53.

 어드먼(Erdmann, Charles R.), 마태복음 강해. 박손혁 역. H: 1 210. 1954.

 킹스베리 (Kingsbury, Jack Dean), 마태복음서 연구, 김근수 역. 서울:기독교 문서 선교회. 1990.


 마가복음

 Anderson, Hugh. The Gospel of Mark.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76.

 Barclay, William. The Gospel of Mark.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75.

 Branscomb, B. H. The Gospel of Mark. New York: Harper & Brothers, 1964.

 Bratcher, Robert G. A Translators Handbook on the Gospel of Mark. London: The United Bible Societies, 1961.

 Cole, R. A. The Gospel According to St. Mark: An Introduction and Commentary. Grand Rapids, MI: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0.

 Ellingsen, Harald F. J. Homiletic Studies in the Gospels. Grand Rapids, MI: Baker Book House, 1979.

 Gould E. P. A Critical and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Gospel According to St. Mark, Edinburgh: Clark Publisher, 1955.

 Hendriksen, William. The Gospel of Mark. Grand Rapids, MI: Baker Book House, 1973.

 Hunter, A. M. The Gospel According to St. Mark: A Commentary. New York: Collier Books, 1962.

 Lenski, R. C. H. The Interpretation of St. Marks Gospel. Minneapolis: Augsburg Publishing House, 1964.

 Lightfoot, R. H. The Gospel of St. Mark. Oxford: Clarendon Publishing House. 1950.

 Nineham, D. E. Saint Mark. Pelican Gospel Commentary. Baltimore: Penguin Publishing House, 1963.

 Schweizer. E. The Good News According to Mark. Atlanta: John Knox, 1970.

 Stendahl, K. Mark, Peakes Commeatary on the Bible. London: Thomas Nelson & Sons, 1962.

 Swett, Henry Barclay. Commentary on Mark. Grand Rapids, MI: Kregel Publications, 1977.

 어드먼(Erdmann, Charles R.). 마태복음 강해. 박손혁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54.

 킹스베리(Kingsbury. Jack Dean). 마태복음서 연구. 김근수 역. 서울: 기독교 문서 선교회. 1990.


 누가복음

 Barclay. William. The Gospel of Luke.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75.

 Earle, Ellis E. The Gospel of Luke. Grand Rapids, MI: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3.

 Geldenhuys, Norval. Commentary on the Gospel of Luke.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3.

 Green, Joel B. Theology of the Gospel of Luk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Gutzke, Manford George. Luke, Plain Talk on. Grand Rapids, MI: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66.

 Hendriksen, William. The Gospel of Luke. Grand Rapids, MI: Baker Book House, 1975.

 Hobart, W. K. The Medical Language of St. Luke. Grand Rapids, MI: Baker Book House, 1954.

 Jensen. Irving L. Luke. Chicago: The Moody Bible Institute, 1970.

 Lenski, R. C. H. The Interpretation of St. Lukes Gospel. Minneapolis: Augsburg Publishing House, 1961.

 Marshall, Howard I. Luke: Historian and Theologian. Grand Rapids, MI: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70.

 Morris, Leon. The Gospel According to St. Luke.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94.

 Plummer, Alfred. A Critical and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Gospel of Luke. New York: Union Theological Seminary, 1981.

 Reiling. J. Translators Handbook on the Gospel of Luke. London: United Bible Societies, 1971.

 Wilcock, Michael. The Message of Luke. Leicester, England: Inter-Varsity Press, 1973.

 어드만(Erdman, Charles). 누가복음 강해. 전영택 역. 서울:기독교서회, 1954.

 마샬(Marshall I., Howard). 누가복음. 강요섭 역. 서울:한국신학연구소, 1983.


 요한복음

 Barclay, William. The Gospel of John.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75.

 Barrett, C. K. Essays on John.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17.

 ____. The Gospel According to St. John.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78.

 Brown, Raynold E.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The Anchor Bible 29-29A, New York: Doubleday & Company. 1966.

 Burkett, Delbert. The Son of Man in the Gospel of John. England: JSOT Press, 1991.

 Cullmann, Oscar A. A New Approach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Fourth Gospel. London: SCM, 1960.

 Davies, Margaret. Rhetoric and Reference in the Fourth Gospel. England: JSOT Press, 1992.

 Dodd, C. H. The Interpretation of the Fourth Gospel. Cambridge: CUP, 1953.

 Driver, Samuel Rolles. Alfred Plummer, Charles Augustus Briggs. A Critical and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John. Edinburgh: T & T Clark, 1980.

 Gordon, G. Royce. The Trinity in the Gospel of John. Grand Rapids, MI: Baker Book House, 1986.

 Haenchen, Ernst. John.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0.

 Harrison, Everett F. John. Chicago: The Moody Bible Institute, 1962.

 Morris Leon. Expository Reflections on the Gospel of John. Grand Rapids, MI: Baker Book House, 1988.

 Morgan, G. C. Studies on the Fourth Gospels. New Jersey: Fleming H. Rerell, 1931.

 Pink, A. W. Exposition of the Gospel of John. Grand Rapids, MI: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75.

 Plummer, Alfred. The Gospel According to St John. Grand Rapids, MI: Baker Book House, 1981.

 Powell, Ivor. Johns Wonderful Gospel. Grand Rapids. M: Kregel Publications, 1983.

 Schnackenburg, Rudolf. The Gospel According to St. John. New York: Crossroad Publishing Company. 1982.

 Smalley, Stephen S. John. The Paternoster Press, 1983.

 Smith, D. Moody. Theology of the Gospel of John.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Tasker, R. V. G. The Gospel According to St. John.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0

 배러트(Barrett. C. K.). 요한복음. 박경미 역. 서울: 국제성서주석. 1984.

 어드먼(Erdman, Charles). 요한복음 강해. 임영빈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54.

 피츠너 (Pfitzner. V. C.). 요한복음. 키로주석. 지미숙 역. 서울: 컨콜디아사. 1993.

 핑크(Pink, Arthur W.). 요한복음서 강해. 지상우 역. 서울:엠마오. 1986.

 로버트슨(Robertson. A. T.). 요한복음에 나타난 그리스도의 신성. 최치남 역. 서울: 요단출판사. 1986.

 모리스(Morris, Leon). 요한복음. 이상훈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79.

 불트만(Bultmann. Rudolf). 요한복음서 연구. 허혁 역. 서울: 성광문화사. 1990.


 사도행전

 Barclay. William. The Acts of the Apostles.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76.

 Bauckham, Richard. The Book of Acts in Its First Century.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95.

 Blaiklock, E. The Acts of the Apostles. London: Tyndale Press, 1959.

 Bruce, F. F. Commentary on the Book of the Acts.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6.

 Gaebelein, Arno. The Acts of the Apostles. Neptune, NJ: Loizeaux Brothers, 1983.

 Harrison, Everette. Acts: the Expanding Church. Chicago: Moody Press, 1975.

 Hendricksen, W. The Exposition of the Acts of the Apostles. Grand Rapids, MI: Baker Book House, 1954

 Jensen, Irving. Acts. Chicago: Moody Press, 1969.

 Laurin, Roy L. Acts. Grand Rapids, MI: Kregel Publications, 1985.

 Ladd, G. E. The Acts of the Apostles. Wycliffe Bible Commentary. Chicago: Moody Press, 1962.

 Lenski, R. C. The Interpretation of the Acts. Minneapolis: Augsburg Publishing House, 1961.

 Marshall, I. H. The Acts of the Apostles.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1.

 Morgan, G. Campbell. The Acts of the Apostles. Fleming H. Revell Company. Neil, William. Acts.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73.

 Ransay, W. M. The Cities of St. Paul. New York: Armstrong, 1908.

 _____. St. Paul, the Traveller and the Roman Citizen. New York: G. P. Putman’s Sons, 1909.

 Stott, John R. Message of Acts. Leicester: Inter-Varsity Press, 1990.

 White, Ellen G. The Act of the Apostles. Mountain View. CA: Pacific Press Publishing Association, 1911.

 Winter, Bruce. The Book of Acts in its First Century. Grand Rapids, M: William B. Eerdmans, 1993.

 개스크(Gasque, W. W.). 사도행전비평사. 서울: 엠마오.1989.

 김기곤. 사도행전 연구. 서울: 삼영출판사. 1995.

 블레이클록(Blaiklock. E.). 사도행전 주석. 서울: 예수교문서선교회. 1980.

 브루스(Bruce. F. F.). 사도행전. 서울: 아가페출판사. 1988.

 어드먼(Ekdman. Charies). 사도행전 강해. 서울: 대한기독교서회.:1954.

 헨첸(Haenchen. Ernst). 사도행전.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7.


 로마서

 Barrett, C. K. Commentary on the Epistle to Romans. London: A & C Black, 1991.

 Best. W.E. A Comprehensive View of Romans. Houston: South Belt Assembly of Christ, 1992.

 Bruce, F. F. The Epistle of Paul to the Romans.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0.

 Paul: Apostle of the Heart Set Free.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4.

 Cranfield, C. Romans: A Shorter Commentary.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5.

 Donfried. Karl. Romans Debate. Peabody: Hendrickson Publishing, 1991.

 Elliott, Neil. The Rhetoric of Romans. Sheffield: JSOT Press, 1990.

 Hendriksen, W. Romans. Grand Rapids, MI: Baker Book House, 1981.

 Hodge, Charles. Commentary on the Epistle to the Romans.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3.

 _____. The Epistle to the Romans. London: The Banner of Truth, 1835.

 John Murray. Epistle to the Romans.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65.

 Käsemann. Ernst. Commentary on Romans.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0.

 Luther, Martin. Commentary on the Epistle to the Romans. Grand Rapids, MI: Kregel Publications, 1954.

 Moule, H. C. G. Romans. London: Marshall Pickering, 1992.

 Newell. Wm. Romans Verse by Verse. Chicago: Moody Press, 1938.

 Nygren. Anders. Commentary on Romans.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8.

 Ridderbos, Herman. Paul: An Outline of His Theology.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75.

 Sanders, E. P. Paul, the Law and the Jewish People.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3.

 Steele, David, Romans. Phillipsburg: Presbyterian and Reformed Publishing Company, 1967.

 리챠드슨(Richadson John R.). 로마서. 김원태 역. 서울: 그라페문서선교회. 1987.

 바우(Bow, Roger). 로마서. 이회숙 역. 서울: 컨콜디아사. 1992.

 바르트(Barth, Karl). 그리스도와 아담. 서울: 종로서적. 1976.

 _____. 로마서 강해. 서울: 한들. 1997.

 스토트(Stott, John). 로마서 강해. 서울: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1996.

 어드먼(Erdman, Chaiies R.). 로마서 강해. 조선출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54.

 웨스트(Wuest. K. S.). 로마서 원문주석. 김선기 역. 서울:요단출판사. 1987.

 이순한. 로마서 강해. 서울: 한국기독교교육연구원. 1984.


 고린도전서

 Barrett, C. K. Commentary on the First Epistle to the Corinthians. London: A & C Black, 1971.

 Bruce, F. F. 1 and 2 Corinthians.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0.

 Conzelmann, H. First Corinthians.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1.

 Grosheide, F. Commentary on the First Epistle to Corinthians. Grand Rapids, MI: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53.

 Jensen. Irving. 1 Corinthians. Chicago: The Moody Bible Institute. 1972.

 Luck, G. Colem. First Corinthians. Chicago: Moody Press, 1958.

 Morris, Leon. The First Epistle of Paul to the Corinthians.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0.

 Prior, David. Message of 1 Corinthians. Leicester: Inter-Varsity Press, 1985.

 모리스(Morris Leon). 고린도서 주석. 서울: 기독교 문서선교회. 1983.

 어드먼(Erdman. Charles R.). 고린도전서 강해. 서울: 대한기독교회서회. 1953.

 핫지(Hodge, Charles). 고린도전서. 서울: 아가게출판사. 1989.


 고린도후서

 Barnes, Albert. II Corinthians and Galatians. Grand Rapids, MI: Baker Book House, 1975.

 Barnett, Paul. Message of 2 Corinthians. Leicester: Inter-Varsity Press, 1988.

 Barrett, C. K. The Second Epistle to the Corinthians. New York: Harper Collins College Publishing. 1973.

 Bruce, F. F. 1 and 2 Corinthians.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0.

 Hodge, Charles. An Exposition of the Second Epistle.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73.

 Hughes, Philip. Pauls Second Epistle to the Corinthians.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62.

 Jensen, Irving. 2 Corinthians. Chicago: The Moody Bible institute, 1972.

 Tasker, R. V. The Second Epistle of Paul to the Corinthians.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1.

 핫지(Hodge. Charles). 고린도후서. 서울: 아가페출판사. 1988.


 갈라디아서

 Barclay, William. The Letters to the Galatians. 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976.

 Barnes, Albert. II Corinthians and Galatians. Grand Rapids, MI: Baker Book House, 1975.

 Betz, Hans Die. Galatians.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4.

 Cole, R. A. The Epistle of Paul to the Galatians.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0.

 Dunn, James D. A Commentary of the Epistle to the Galatians. London: A & C Black, 1993.

 Guthrie, Donal. Galatians.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1.

 Hendriksen, William. Galatians & Ephesians. Edinburgh: The Banner of Truth Trust, 1968.

 Jensen, Irving. Galatians. Chicago: The Moody Bible Institute, 1973.

 Luther, Martin. Commentary on Galatians. Grand Rapids, MI: Kregel Publications, 1980.

 Stott, John R. The Message of Galatians. Leicester: Inter-Varsity Press, 1988.

 Vos, Howard F. Galatians. Chicago: The Moody Press, 1974.

 Wiersbe, Warren. Be Free: An Expository Study of Galatians. Wheaton, IL: Victor Books, 1975.

 스토트(Stott. John). 갈라디아서 강해. 서울 아가페출판사. 1975.                                           j

 콜(Cole. A. E.). 갈근두I아서. 에베소서. 서울: 여수교문서선교회. 1980.


 에베소서

 Barclay. William. The Letters to the Galatians and Ephesians. 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976.

 Foulkes, Franc. The Epistle of Paul to the Ephesians. Grand Rapids, M: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1.

 Hendriksen, William. Galatians & Ephesians. Edinburgh: The Banner of Truth Trust, 1968.

 Jensen, Irving. Ephesians. Chicago: The Moody Bible Institute, 1973.

 Mitton, C. Leslie. Ephesians.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1.

 Stott, John R. The Message of Ephesians. Leicester: Inter-Varsity Press, 1989.


 빌립보서

 Beare, F. W. A Commentary of the Epistle to the Philippians. London: A & C Black, 1973.

 Hendriksen, William. Philippians, Colossians, Philemon. Edinburgh: The Banner of Truth Trust, 1962.

 Jensen, Irving. Philippians. Chicago: The Moody Bible Institute, 1973.

 Martin, Ralph. Philippians.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0.

 Motyer, J. A. The Message of Philippians. Leicester: Inter-Varsity Press, 1984.

 Moule, H. C. G. The Epistle to the Philippians. Grand Rapids, MI: Baker Book House, 1981.

 Wilson, Geoffrey. Philippians. Pennsylvania: The Banner of Truth Trust, 1983.

 로버트슨(Robertson. A. T.). 빌립보서 강해. 서울: 엠마오. 1993.

 마틴(Martin, R. P.). 빌립보서 • 골로새서 • 빌래몬서.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 1982.

 박창환. 빌립보서 • 골로새서 • 빌레몬서.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60.


 골로새서

 Barnes, Albert. Ephesians, Philippians and Colossians. Grand Rapids, MI: Baker Book House, 1976.

 Carson, Herbert. The Epistles of Paul to the Colossians. Grand Rapids, M: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1.

 Harrison, Ever. Colossians. Chicago: Moody Press, 1971.

 Hendriksen, William. Philippians, Colossians, Philemon. Edinburgh: The Banner of Truth Trust, 1962.

 Jensen, Irving. Colossians and Philemon. Chicago: The Moody Bible Institute, 1973.

 Lohse, Eduard. Colossians and Philemon.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2.

 Lucas, R. C. The Message of Colossians. Leicester: Inter-Varsity Press, 1980.

 Martin, Ralph. Colossians and Philemon.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1.

 Simpson, E. K. Commentary on the Epistles to the Colossians.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73.


 데살로니가전 · 후서

 Jensen, Irving. 1 & 2 Thessalonians. Chicago: The Moody Bible Institute, 1974.

 스토트(Stott. John). 데살로니가전 • 후서 강해. 정옥배 역. 서울: 한국기독교 학생회 출판부. 1993.


 디모데 전 · 후서

 Hiebert, D. Edward. First Timothy. Chicago: Moody Press, 1957.

 _____. Second Timothy. Chicago: Moody Press, 1958.

 Jensen, Irving. 1 & 2 Timothy and Titus. Chicago: The Moody Bible Institute, 1973.

 Stott, John R. The Message of 2 Timothy. Leicester: Inter-Varsity Press, 1973.


 디도서

 Barclay. William. The Letters to Timothy, Titus. 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975.

 Barnes, Albert. Thessalonians, Timothy. Titus. Grand Rapids, MI: Baker Book House, 1976.

 Bradford, Charles. Timothy & Titus. Mountain View, CA: Pacific Press Publishing Association, 1994.

 Dibelius, Martin. The Pastoral Epistles.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3.

 Guthrie, Donald. The Pastoral Epistles.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0.

 Hiebert, D. E. Titus and Philemon. Chicago: Moody Press, 1957.

 Jensen, Irving. 1 & 2 Timothy and Titus. Chicago: The Moody Bible Institute, 1973.

 Kelly, J. N. D. A Commentary on the Pastoral Epistles. Grand Rapids, MI: Baker Book House, 1983.


 빌레몬서

 Barnes, Albert. Thessalonians, Timothy, Titus and Philemon. Grand Rapids, MI: Baker Book House, 1976.

 Hendriksen, William. Philippians, Colossians, Philemon. Edinburgh: The Banner of Truth Trust, 1962.

 Hiebert, D. Edward. Titus and Philemon. Chicago: Moody Press, 1957.

 Jensen, Irving. Colossians and Philemon. Chicago: The Moody Bible Institute, 1973.

 Lohse, Eduard. Colossians and Philemon.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2

 Lucas, R. C. The Message of Colossians and Philemon. Leicester: Inter-Varsity Press, 1980.

 Martin, Ralph. Colossians and Philemon.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1.


 히브리서

 Andreasen, M. L. The Book of Hebrews. Washington, DC: Review and Herald Publishing, 1948.

 Barclay. William. Hebrews.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76.

 Brooks, Keith. Hebrews. Chicago: The Moody Bible Institute, 1963.

 Brown, Raymond. The Message of Hebrews. Leicester: Inter-Varsity Press, 1973.

 Bruce, F. F. Commentary on the Epistle to the Hebrews. London: Marshall, Morgan & Scott, 1971.

 _____. The Epistle to the Hebrews. Grand Rapids, M: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64.

 Ellingworth, P. The Epistle to the Hebrews.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90.

 Guthrie, Donald. The Letter to the Hebrews. Grand Rapids, MI: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8.

 Hewitt, Thomas. The Epistle to the Hebrews.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1.

 Hobbs, Hersche. Hebrews. Nashville, TN: Broadman Press, 1971.

 Holbrook, F. Issues in the Book of Hebrews. Washington, DC: Biblical Research Institute, 1989.

 Hughes, Philip. A Commentary on the Epistle to Hebrews. Grand Rapids, MI: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77.

 Johnsson, William G. Hebrews. Mountain View, CA: Pacific Press Publishing Association, 1994.

 Kent, Homer A. The Epistle to the Hebrews. Grand Rapids, MI: Baker Book House, 1972.

 MacDonald, William. The Epistle to the Hebrews. Neptune, NJ: Loizeaux Brothers, 1971.

 Owen, John. An Exposition of the Epistle to the Hebrews. Avon: the Bath Press, 1854.

 Pink, Arthur W. An Exposition of Hebrews. Grand Rapids, MI: Baker Book House, 1979.

 Simon, J. Kistemaker. Hebrews. Grand Rapids, MI: Baker Book House, 1984.

 Vos. Geerhardus. The Teaching of the Epistle to the Hebrews. Phillipsburg, NJ: Presbyterian and Reformed Publishing Co., 1956.

 Westcott, B. The Epistle to the Hebrews.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4.

 Pink. Arthur. W. 히브리서 강해. 서울: 청교도신앙사. 1990.

 존슨(Johnsson. William). 히브리서. 하홍팔 역. 성경확대경. 서울: 시조사. 1999.


 야고보서

 Adamson, James. The Epistle of James. Grand Rapids, MI: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76.

 Barnes, Albert. James, Peter, John, and Jude. Grand Rapids, MI: Baker Book House, 1976.

 Dibelius, Martin. James.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1.

 Gutzke, Manfor. Plain Talk on James. Grand Rapids, M: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73.

 Jensen, Irving. James. Chicago: The Moody Bible Institute, 1971.

 Johnstone, R. A Commentary on James. Edinburgh: The Banner of Truth Trust, 1871.

 Laws, Sophie. A Commentary on the Epistle of James. London: A. & C. Black, 1980.

 Maynard, R. James. Mountain View, CA: Pacific Press Publishing Association, 1996.

 Motyer, J. A. The Message of James. Leicester: Inter Varsity Press, 1985.

 Ross, Alexander. The Epistles of James and John. Grand Rapids, M: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54.

 Stulac, George. James. Downers Grove, IL: Inter Varsity Press, 1993.

 Tasker, R. V. The General Epistle of James.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0.


 베드로전 · 후서

 Goppelt, L. A Commentary on I Peter. Grand Rapids, MI: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93.

 Jensen, Irving. 1 and 2 Peter. Chicago: The Moody Bible Institute, 1971.


 요한일 · 이 · 삼서 및 유다서

 Barclay, William. The Letters of John and Jude. 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976.

 Barnes, Albert. James, Peter, John, and Jude. Grand Rapids, MI: Baker Book House, 1976.

 Coder, S. M. Jude. Chicago: Moody Press, 1958.

 Jensen, Irving. The Epistles of John and Jude. Chicago The Moody Bible Institute, 1971.

 Johnston, Robe. Peter & Jude. Mountain View, CA: Pacific Press Publishing Association, 1995.

 Kelly, J. N. D. A Commentary on the Epistle of Jude. London: A. & C. Black, 1969.


 요한계시록

 Anderson, Roy. Unfolding the Revelation. Mountain View, CA: Pacific Press Publishing Association, 1974.

 Barclay. William. The Revelation of John.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76.

 Cottrell, Raymond. Daniel and the Revelation. Angwin, CA: Pacific Union College, 1950.

 Harding, L. The Book of Revelation.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74.

 Hendriksen, William. More Than Conquerors. Grand Rapids, MI: Baker Book House, 1990.

 Haskell, S. The Book of Revelation. Altamont: Harvesttime Books, 1989.

 Holbrook, F., ed. Symposium on Revelation. Washington, DC: Review and Herald Publishing Association, 1992.

 Ladd, George. E. A Commentary on the Revelation.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72.

 Matula, Floyd. Revelation Commentary. Portland: New Life & Health Ministries, 1987.

 Morris. C. The Revelation of St. John.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0

 Morris, Henry. The Revelation Record. San Diego, CA: Creation-Life Publishers, 1983.

 Morris, Leon. I Believe in Revelation.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76.

 Mounce, R. The Book of Revelation.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77.

 Newell, W. The Book of the Revelation. Chicago: Moody Press, 1981.

 Phillips, John. Exploring Revelation. Chicago: Moody Press, 1974.

 Ramsey. James. The Book of Revelation. Edinburgh: The Banner of Truth Trust, 1873.

 Smith, Uriah. Daniel and the Revelation. Washington, DC: Review and Herald Publishing Association, 1944.

 Strand, Kenneth. Interpreting the Book of Revelation. Naples, FL: Ann Arbor Publishing, 1979.

 Were. Louis. F. The Woman and the Beast in the Book of Revelation. Berrien Spring, MI: First Impressions, 1983.

 Wilcock, M. The Message of Revelation. Leicester Inter-Varsity Press, 1989.

 맥스웰(Maxwell. Mervyn). 요한계시록 연구. 오만규 역. 서울: 시조사. 1989.

 신계훈. 요한계시록. 상권. 서울: 삼육대학. 1977.

 장병호. 요한계시록 핵심연구. 서울: 삼육대학교. 1994.


 주제 색인


 교회 

 28. 베드로 위에 교회를 세우셨는가?

 29. 교회가 풀면 하늘에서도 풀리는가?

 90. 교회가 용서하면 하늘에서도 용서하는가?

 241. 일곱 교회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구원 

 120. 구속(救國)이란 무엇인가?

 170. 우리의 구원과 멸망은 예정되어 있는가?

 204. 아브라함이 행함으로 의롭게 되었는가?


 그리스도 

 68. 예수님을 왜 말씀이라고 표현했는가?

 69. 말씀 앞에 정관사가 없으면 하나님이 아닌가?

 178. 하나님의 사자들이 인자 위에 오르락내리락 한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73. 인자 외에는 하늘에 올라간 자가 없는가?

 74. 인자가 들려야 한다는 뜻은 무엇인가?

 75. 독생자는 하나님이 낳았는가?

 80. 인자의 살과 피는 무엇인가?

 133.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정죄(定罪)함이 없는가?

 136. 그리스도가 율법의 마침이란 뜻은?

 177. 먼저 나신 자라는 말은 피조물이란 뜻인가?


 그리스도의 탄생 

 1. 족보 속에 여자 이름이 들어간 이유는?

 2. 왜 족보가 14대씩 구분되었는가?

 3. 왜 마태의 족보는 누가의 족보와 다른가?

 4. 동방박사는 누구인가?

 5. 성경에 나오는 헤롯들

 6. 왜 두 살 아래 아이를 다 죽였을까?

 51. 만삭의 마리아가 호적하러 간 이유는 무엇인가?

 52. 요셉과 마리아는 베들레헴에 며칠이나 머물렀는가?


 믿음 

 30. 산을 옮길 수 있을까?

 116. 믿음이 아니라 행함으로 심판받는가?

 121. 믿음으로 율법을 굳게 세운다는 말씀은?


 방언

 93. 방언이란 무엇인가?

 94. 방언의 은사가 사도들의 입에 임했는가 아니면 청중의 귀에 임했는가?

 101. 고넬료의 집에서도 방언이 필요했는가?

 153. 방언은 하나님께 말하는 비밀의 언어요 영적인 기도

 154. 고린도전서 14장에서 마치 방언을 찬성하는 것 같은 표현은 어떻게 해석해야 하나?


 복음

 112. 복음(福音)이란 무엇인가?

 118. 복음을 들어보지 못한 사람은 어떻게 구원받는가?


 성령

 25. 성령을 거역하면 사하심을 얻지 못하는가?

 111. 성결(聖潔)의 영이란 무엇인가?

 152. 은사란 무엇인가?


 시간

 67. 예수께서 돌아가신 시간은?

 87. 최후의 만찬은 언제 있었는가?

 89. 요한은 왜 로마 시간을 사용했는가?


 심판

 76. 믿는 자는 심판을 받지 않는가?

 84. 예수께서는 심판하러 오셨는가?

 117. 심판(審判)이란 무엇인가?

 217. 하나님의 집에서 심판을 시작한다는 의미는?

 237. 악인은 영원한 불의 형벌을 받는가?


 십자가

 67. 예수께서 돌아가신 시간은?

 87. 최후의 만찬은 언제 있었는가?

 163.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박힌다는 뜻은?


 안식일 

 35. 겨울이나 안식일이 되지 않도록 기도하라.

 41. 신약 시대에 안식일에 하지 못한 일은 무엇이었나?

 42. 왜 예수께서 안식일의 주인인가?

 78. 하나님이 안식일에 일하는가?

 106. 바울은 전도하러 안식일에 회당에 갔는가?

 109. 초기교회는 과연 일요일에 모였는가?

 143. 자기 마음대로 안식일을 정할 수 있는가?

 158. 첫째 날에 모여 헌금했는가?

 167. 날과 달과 절기와 해란 무엇인가?

 180. 안식일은 그림자인가?

 193. 남아 있는 안식은 무엇인가?

 240. 주의 날은 어느 날인가?

 부록: 안식일에 관한 22가지 질문


 여성 

 149. 남자는 여자의 머리인가?

 150. 천사들 때문에 수건을 써야 한다는 표현은 무슨 뜻인가?

 155. 여자는 교회에서 잠잠해야 하는가?

 186. 여자는 교회에서 가르치면 안 되는가?

 187. 해산함으로 구원을 받는다는 말은?

 206. 간음하는 여자들이란 누구를 말하는가?


 영혼

 8. 심판의 불은 꺼지지 않는가?

 19. 몸은 죽여도 영혼(魂)은 죽이지 못한다는 뜻은?

 59. 부자가 죽으면 바로 지옥에 떨어지는가?

 66. 강도는 그날로 낙원에 갔는가?

 79. 죽은 자들은 누구인가?

 82. 사람이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죽음을 영원히보지 않는가?

 134. 로마서 8장의 영과 육이란 무엇인가?

 146. 죄인을 사단에게 내어주는가?

 160. 바울은 죽기를 원했는가?

 172. “떠나서 그리스도와 함께”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183. 영과 혼과 몸이 따로 있는가?

 205. 영혼 없는 몸이 죽은 것이라는 뜻은?

 210. 영혼의 구원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214. 예수께서 영으로 전도하셨는가?

 216. 죽은 자들에게도 복음이 전파되는가?

 237. 악인은 영원한 불의 형벌을 받는가?


 완전

 13. 하나님처럼 온전하게 될 수 있는가?

 48. 의인은 계명을 흠 없이 지키는 사람인가?

 132. 로마서 7:14-25은 그리스도인의 경험인가?

 133.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정죄(定)함이 없는가?

 176. 온전히 이루었는가. 이루지 못했는가?

 230. 그리스도 안에 거하는 자는 죄를 범하지 않는가?


 율법

 10. 율법을 폐하러 오셨는가?

 129. 의문의 묵은 것이란 무엇인가?

 130. 율법(供)이 나를 죽이는가?

 136. 그리스도가 율법의 마침이란 뜻은?

 159. 십계명이 죽게 하는 의문의 직분인가?

 171. 원수 된 의문의 율법이란 무엇인가?

 195. 새 언약과 옛 언약

 203. 자유의 율법이란 무엇인가?

 226. 새 계명이란 무엇인가?


 재물 

 46. 부자는 하늘에 가기 어려운가?

 59. 부자가 죽으면 바로 지옥에 떨어지는가?

 121. 믿음으로 율법을 굳게 세운다는 말씀은?

 122. 율법이 없을 때는 죄를 죄로 여기지 않는가?


 재림

 18. 이스라엘의 모든 동네를 다 다니지 못하여 인자가 오리라?

 24. 하나님의 나라는 이미 임하였는가?

 34. 복음이 온 세상에 전파되어야 한다는 말은?

 37. 해가 언제 어두워졌는가?

 38. “이 세대(世)”는 언제인가?

 45. 죽기 전에 인자가 온다는 말은?

 76. 믿는 자는 심판을 받지 않는가?

 95. 피와 불과 연기는 무엇인가?

 181. 죽은 자들을 데리고 오시는가?

 182. 데살로니가 교회의 문제는 무엇인가?

 224. 하나님의 시간은 하루가 천년인가?

 225. 하나님은 모든 사람이 다 구원받을 때까지 기다리실 것인가?

 239. 그를 찌른 자도 볼 것이요.

 247. 해 돋는 데는 어디인가?

 248. 144,000명은 상징적인 수인가?


 

 125. 죄에 대하여 죽었다는 의미는?

 126. 죄에 대하여 해방되었다는 말은?

 131. 죄가 계명을 사용하여 우리를 죽인다는 뜻은 무엇인가?

 133.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정죄(定罪)함이 없는가?


 천국과 지옥

 8. 심판의 불은 꺼지지 않는가?

 22. 천국을 침노할 수 있는가?

 24. 하나님의 나라는 이미 임하였는가?

 32. 하늘에는 가정 생활이 없는가?

 60. 하나님의 나라가 너희 안에 있다는 말은?

 223. 범죄한 천사들이 갇혀 있는 지옥이란 어디인가?


 침례

 7. 불의 침례란 무엇을 말하는가?

 9. 모든 의를 이룬다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72. 물과 성령으로 거듭난다는 말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88. 발만 씻는다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127. 그의 죽으심과 합하여 침례받는다는 뜻은 무엇인가?

 156. 죽은 자를 위해서 침례받을 수 있는가?
요약

List